괴물 부모의 탄생 - 공동체를 해치는 독이 든 사랑
김현수 지음 / 우리학교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대한민국 교육이 흔들리는 이유가 무엇일까? 교육이 바로 서기 위해서는 교사가 존중받고 자존심이 짓밟히지 말아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모습은 정반대다. 학부모의 갑질은 도를 넘고 있다. 자기 자식을 위해서라면 뭐든 하고야 말겠다는 돌격대원이 된다. 자기 자식이 조금이라도 상처를 받으면 물불이 가리지 않고 학교로 쫓아오고 성질을 부린다. 그 학부모에게는 학교는 화풀이 대상이 되고 교사는 분풀이 대상이 된다. 사과를 받아야 직성이 풀린다. 자녀를 볼모 삼고 학교 위에 교사 위에 군림을 한다. 나는 현직 교감이다. 25년 이상 학교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최근 몇 년 동안 괴물과 같은 학부모를 자주 접한다. 아쉽게도 괴물 같은 학부모를 제지할 수단이 하나도 없다는 것이 우리 법의 현실이다.  

 

교사들이 마음껏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괴물 부모의 습관적 이상 행동을 막는 법이 절실하다. 학교는 늘 죄인이다. 정당한 교육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조금이라도 아이가 다치면 가슴을 쓸어내린다. 심지어 아이의 말만 듣고 교사가 잘못인양 다짜고짜 따지는 학부모들을 많이 본다. 교감이 죄송하다는 말을 연거푸해도 자기 하고 싶은 말을 해야 그제야 시혜를 베푸는 것처럼 전화를 끊는다. 앞으로 이런 일이 재발되면 다시는 가만두지 않는다는 엄포와 함께 말이다.  

 

이게 우리 학교의 모습이다. 사회학적으로 분석한 괴물 부모의 탄생은 오래전부터 예견되어 왔던 일이다. 일본과 홍콩에서는 이미 몇 해 전부터 학교 위에 군림하는 학부모들의 이상 행동들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고 하니 새로운 일도 아니다. 우리도 이런 불행한 전철을 밟고 있다고 하니 가슴이 아프다. 괴물 부모를 막아내는 일은 학교만의 힘으로는 역부족이다. 학교가 무슨 권한이 있길래 괴물 부모의 출현을 제지할 수 있을까. 온 국민이 함께 교육을 지켜내야 국가의 미래가 온전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학교를 지켜내고 교사를 수호해 주어야 한다.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지 않은가.  

 

괴물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은 학교에서 금방 드러난다. 혼자 무언가를 결정하지 못한다. 늘 어두운 모습을 지니고 있다. 부모의 강압된 양육으로 조용한 듯하나 언제 터질지 모르는 화산과도 같다. 괴물 부모가 만들어낸 불행한 결과다. 자녀는 부모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도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괴물 부모에게 있어 자녀는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대리 만족 수단이다. 불행히도 괴물 부모의 출현 빈도는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경쟁 사회일수록 더더욱 그렇다고 한다. 학벌 사회는 부모의 괴물화를 가속화한다.  

 

나는 괴물 부모가 아니겠지라고 생각하는 부모가 있다면 정직하게 진단을 받아 볼 것을 권한다. 자녀의 문제 앞에 통제 불능해지는 것이 부모이기 때문이다. 괴물 부모는 누구든지 될 수 있다. 괴물 부모가 되지 않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방법에 달리 뾰족한 방도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