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아이들에게 배웁니다 - 여전히 교실에서 희망을 찾는 15년 차 초등교사의 교단 일지
손지은 지음 / (주)학교도서관저널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생님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것이 무엇일까? 

 

학교 안에서 관계를 힘들어한다. 그러지 말아야 하는데 학생과의 관계도 힘들어한다. 교사라는 직업은 학생과의 관계가 떼려야 뗄 수 없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학생과의 관계를 무척 어려워한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학생과의 관계는 학부모와의 관계와 자동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학생의 나이가 어리면 어릴수록 학생과의 관계는 백발백중 학부모와의 관계다. 

 

초등학교 담임 선생님일수록 관계의 문제가 직업 만족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 같다. 힘들게 교사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직을 주저하지 않고 결심하는 이유도 관계 때문이다. 아니 학부모와의 관계 때문이다. 왜 학부모와의 관계를 어려워할까? 

 

학부모와의 연락은 좋은 일 때문에는 거의 하지 않는다. 대부분 다치거나 싸우거나 상처가 났거나 피해를 입었거나 등등의 안 좋은 일 때문에 하게 된다. 불편한 감정의 대립이 이루어진다. 상식이 통하는 대화가 된다면 크게 상처를 받지 않지만 일방적인 요구와 다를 바 없는 대화는 선생님들의 마음을 닫히게 하고 트라우마로 연결된다. 학생과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각양각색의 특성이 있는 학생들을 만나게 된다. 특성의 스펙트럼도 광범위해졌다. 선생님의 입장에서는 난처하다. 웬만히 노련하지 않으면 대처하기 힘든 상황도 교실 속에서 빈번하게 일어난다. 학부모의 개입이 없다면 좋건만 자칫 잘못하면 신고의 대상이 되고 말기에 선생님들은 잔뜩 긴장할 수밖에 없다. 

 

"오늘도 아이들에게 배웁니다"  

 

도발적인 문장이다. 아이들과 함께 지내는 것 자체가 힘든 선생님들에게는 아니 어떻게 아이들에게 배운다는 말이지? 이게 말이 되는 소리인가?라고 반문할 수 있겠다 싶다. 선생님의 시각 자체가 아이들 중심으로 바뀌지 않으면 도저히 흉내 낼 수조차 없는 문장이다. 교사인 나에게는 잘못이 없다, 문제는 아이들 탓이다, 그리고 학부모의 지나친 개입 탓이다라고 생각한다면 아이들은 단지 어른인 나의 가르침을 받아야 할 대상이지 내가 배워야 할 대상이 결코 될 수 없다.  

 

저자의 교직관을 엿볼 수 있는 문장이 있다. 157쪽에 나와 있는 문장이다.  

 

"선생님이라는 이름에는 아이들의 삶에 진심으로 관심을 가져도 좋다는 허락이 담긴 것 같아서 참 다행스럽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 사람의 세상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응원을 보낼 수도, 잘못된 방향을 바로잡아 줄 수도 있는 귀한 자리이니까요"  

 

아이들의 삶에 집중하는 교사에게는 같은 문젯거리라도 생각하는 바가 다르다. 골칫거리가 아니라 관심거리이며 부담거리가 아니라 사랑거리가 된다. 문제 학생이 아니라 관심 학생이 되며 민원 학부모가 아니라 상담 학부모가 된다. 떠나야 할 교직이 아니라 해볼 만한 교직이 되며 일찍 퇴근하고 싶은 학교가 아니라 머무르고 싶은 학교가 된다. 교사는 실력보다 사랑이 먼저다. 똑똑한 교사보다 우직한 교사가 필요한 시대다. 영리한 교사보다 가슴이 뜨거운 교사가 소중한 시대다. 아이들에게도 배울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라면 학부모와의 관계도 진솔하게 대할 것이며 진솔한 마음과 생각을 엿본 학부모라면 무례하게 말하거나 행동하지 않을 것이다.  

 

교감을 바라보는 교사의 생각도 이와 같지 않을까. 진정성 있는 말과 행동을 보이는 교감이라면 교사들은 함부로 하지 않는다. 존경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의 예의는 보인다. 학부모도 마찬가지다. 교감의 태도를 보고 학부모는 행동을 한다. 겸손하게 머리를 숙이며 정확한 답은 내밀지 못하지만 공감하는 진솔한 마음을 보면 한 발자국을 자신의 요구와 생각을 내려놓는다.  

 

학생도 학부모도 교사도 모두 상처 입은 사람들이다. 상처는 피해의 흔적이다. 피해를 입은 사람을 앞에 두고 잔뜩 옳은 소리를 한다고 들을쏘냐. 그저 어루만지고 보듬어 주는 것이 먼저다. 관심을 먼저 가져주는 것이다. 말하기 보다 듣기가 먼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