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한 편의점 2 (단풍 에디션) 불편한 편의점 2
김호연 지음 / 나무옆의자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네 곳곳에 편의점이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편의점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해 나가는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재가 되었다. 목 좋은 편의점은 야외 테이블마다 사람들이 가득하고 아주 오랫동안 그 자리를 지키며 호황을 누리는 듯하다. 반면 뒤늦게 개점한 편의점 중에 목이 좋지 않은 곳에 자리 잡은 곳은 얼마 가지 않아 편의점 프랜차이즈명을 바꾸어 다시 재오픈하는 곳도 있다. 이렇게 편의점은 근처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해 주는 장소이자 일자리를 찾는 사람들에게는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는 직장이 되기도 한다. 

 

김호연의 불편한 편의점을 처음 읽었을 때 등장하는 인물이 주는 아우라에 그만 빠져들어 등장인물에 감정이 저절로 이입되는 경험을 했다. 작년에 불편한 편의점 두 번째가 나왔고 여름휴가를 맞이하여 이참에 정독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기대하는 마음으로 이어질 스토리를 맞이했다. 역시나 불편한 편의점이 주는 인간적인 감동은 변함이 없었다. 일반 시민들이 어렵게 어렵게 살아가는 모습을 편의점이라는 구체적인 장소에 빗대어 그들의 이야기를 전개한다는 스토리는 나이의 많고 적음을 떠나 모두 공감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것 같다.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장소, 누구나 만날 법한 사람들, 평소에 겪었을 법한 사건들을 다뤘기에 많은 독자들이 애독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편의점이 불편한 이유에 대해 독자들이 반감을 느끼거나 불편하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살아가는 모습과 흡사하기에 고개를 끄덕이며 읽을 수 있지 않았나 싶다. 편의점이 모든 것이 다 갖춰 있고 휘황찬란했다면 그곳은 소비의 장소였지 만남의 장소가 될 수 없었을 것이다. 불편한 것을 참지 못하는 현대인들이지만 불편한 편의점에서만큼은 모두가 불편해도 불편한 대로 여겨질 수 있는 곳이 될 수 있었던 것은 편의점을 지켜낸 사람들의 사연 때문이었을 것이다. 1편에 이어 2편에서도 여전히 '독고'씨의 영향력은 보이지 않고 저변에 흐르는 샘물과 같았고 '독고'씨의 후임으로 인수인계받은 곽 선생님, 홍금보 씨, 그리고 강사장까지.

 

변화될 수 없는 사람들이 불편한 편의점에서 변화가 되었다. 세상을 주름잡던 사람도 자기 자식만큼은 어찌할 수 없다고 고백한다. 자식을 변화시키기란 하늘에 별 따기만큼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편한 편의점은 불가능한 일을 해 내고 만다. 불편했기 때문에 가능했으리라. 불편함이 오히려 사람의 인생을 바꾸는 동기가 되었다. 사람들은 불편함이 생기면 다짜고짜 항의하거나 민원을 제기한다. 자신의 경험하는 불편함을 마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불편함을 직면하지 않는 사람은 불만 가득한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다. 불편함을 불편함으로 받아들일 때 세상을 자연스럽게 살아갈 수 있다. 자녀도 마찬가지다. 불편함 없이 자녀를 키웠다면 헛 키운 셈이다. 불편함을 몸소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부족함 없이 모든 것 다 해준 자식은 고마움을 느끼지 못한다. 불편해야 편리함에 감사하게 된다. 

 

불편한 편의점 세 번째가 혹시 나오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