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러지지 않는다 낮은산 너른들 17
탁동철 지음, 김종숙 그림 / 낮은산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있지 않으면 '아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날을' 한국전쟁이 일어난 날이다. 6.25. 

 

민족분단의 단초가 되었던 한국전쟁은 많은 이산가족들을 낳았고 그 흔적들이 오늘날에도 도처에 남아 있다. 특히 <길러지지 않는다>에 등장하는 강원도 속초는 실향민 마을로 유명하다. 시에서 운영하는 실향민 민속촌에 가면 한국 전쟁 후 고향에 찾아가지 못한 많은 사람들이 임시로 거주하며 살았던 집의 모양을 그대로 복원하여 전시하고 있다. 모형으로 당시 생활상을 묘사해 놓았는데 잠깐이지만 그들의 고향 잃고 살아온 삶의 흔적들을 볼 수 있으며 아픔을 공감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 같다. 

 

저자는 전작 <배추선생과 열네 아이들>, <하느님의 입김>, <달려라 탁샘>에서도 학교에서 학생들과 함께 지내는 모습들을 작품에 담아냈다. <길러지지 않는다>도 장편동화이긴 하지만 책장을 펴고 읽어보면서 대번에 저자의 이야기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속초시 청호동 일대에서 살아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사람이기에 이런 동화를 쓸 수 있겠구나 싶었다. 투박스럽지만 정겨운 실향민 사투리를 마치 아바이 마을 어르신을 곁에 두고 듣는 듯한 느낌이었다. '할마이', '안카서' 등은 북한 실향민들이 주로 썼던 말투이기에 누구도 흉내내어 쓸 수 없는 말이다. 

 

무엇보다도 저자는 <길러지지 않는다>라는 책 제목에서도 본인의 교육철학을 은근히 드러냈듯이 길러지지 않는 아이들을 키우고 싶어 한다. 틀에 짜여진 형식적인 아이들이 아니라 비 오는날 바닥에 누워 빗물을 입 안에 가득 담아내는 천덕꾸러기와 같은 아이들을 키워내고 싶어 하는 교육자다.

 

이웃집 할아버지, 할머니의 오래된 사연에도 귀를 기울일 줄 아는 아이들, 길 고양이가 낳은 새끼 고양이의 생명을 지켜 주기 위해 째복(조개)도 캐내어 장에 내다 팔고, 토란이며 나물이며 캐어 고양이 사료값을 벌고자 하는 아이들의 모습이 독자들의 가슴을 따뜻하게 데펴 줄 것 같다. 자신에게 늘 잔소리하는 교장 선생님도 알고 보니 실향의 아픔을 지닌 어릴 적 추억이 있다는 얘기를 들으며 미워하는 대상에서 위로해 드려야 하는 대상으로 이해하는 아이들의 놀라운 이해심은 과연 어디에서 나왔을까? 

 

일반적인 지식 교육에서는 공감하는 아이로 키우기가 사실 상 어렵다. 저자가 책의 말미에서도 고백했듯이 '길러지지 않는 아이들' 은 곧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아이들이라고 표현한다. 자신의 삶의 터전에서 타인이 살아온 삶의 이야기를 듣고 공감해 줄 수 있는 아이는 자신과 동떨어진 시대를 살아왔지만 들은 이야기를 통해 새로운 이야기로 만들어가며 살아갈 수 있는 아이이며 단언컨대 이 아이들은 21세기 더불어 살아가는 탁월한 인재가 아닐까 싶다. 

 

강원도 속초, 그러니까 3.8도선 윗쪽에 있는 마을에는 점점 잊혀져 가는 실향민들이 고향을 그리워하며 헤어진 가족들을 가슴에 묻게 살아가는 슬픔과 애잔함이 담겨 있다. 지금은 많은 관광객들로 북적거리는 도시로 변모하고 있지만 그곳에 발을 붙이고 살아가는 아이들을 포함한 지역 주민들의 정서에는 그리움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가오는 6.25 한국전쟁일에 길러지지 않는 속초의 아바이 마을 아이들은 과연 그날 어떤 마음으로 하루를 지낼까 궁금해 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