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은 안전을 배달하지 않는다 - 배달 사고로 읽는 한국형 플랫폼노동
박정훈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동의 대가가 얼마인지 알 수 없는 일이 점점 늘고 있다" (137쪽)

 

라이더들의 일감도 이제는 사람이 주는 것이 아니라 AI가 배당해 준다고 한다. 각 플랫폼들은 사람을 관리자로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24시간 일할 수 있는 능력자 AI를 통해 라이더를 조종하고 통제하고 있다고 저자는 이야기하고 있다. 

 

코로나 시기 중에 택배, 배달 등 우리의 안전을 위해 남몰래 애쓴 이들 덕분에 불편함 없이 생활할 수 있었다. 너무 쉽게 편안함을 누리다보니 그 편안함이 누군가의 목숨을 담보로 하고 있었다는 것을 망각했었다. 저자는 직접 오토바이로 배달을 하는 라이더다. 현장에서 그가 느낀 라이더들의 삶을 생생하게 기록으로 남겼다. 라이더들이 왜 신호를 어기면서까지 배달에 목숨을 거는건지, 배달 중에 다쳤음에도 불구하고 산재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지, 배달대행업체가 생기면서 고스란히 배달 수입이 줄어드는 구조적 문제 등을 책에서 밝히고 있다. 

 

맥도널드 같은 회사들은 그나마 라이더들에게 최소한의 노동의 대가가 정직하게 돌아가지만 배달대행업체는 배달의 진입은 쉽지만 배달하기 위한 모든 부담을 라이더들이 져야 한다는 사실을 독자들에게 알리고 있다. 오토바이도 자신이 사서 들어가든 리스를 해서 할부로 내든 오로지 그 몫은 라이더에게 있고 사고가 나더라도 각종 손해는 라이더들에게 있다고 한다. 

 

"배달료는 노동의 대가가 아니라 알고리즘의 선택에 더 가까웠다" (153쪽)

 

나도 가끔 라이더들을 유심히 보게 된다. 배달을 마치고 돌아가는 중에도 핸드폰 화면을 눈에서 떼지 않는다. 손가락을 움직이며 화면을 터치하고 검색하고 쉴 틈 없이 배달 건을 잡기 위해 돌아가는 틈 속에서도 쉬지 않고 전쟁 아닌 전쟁에 몰입한다. 라이더들의 수익은 배달료와 비례한다. 라이더들만의 배달 잡는 노하우가 있다고 한다. 가령 예를 들면 이렇다. 배달을 잡고 배달하고 이런 식이 아니라 최대한 배달 건 수를 잡고 배달하는 경로에 있는 곳을 순차적으로 배달하고 배달하는 중에도 수시로 자신에게 유리한 배달을 잡는 일들을 반복해서 한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교통 사고의 위험에 항상 노출이 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우리가 편안함을 누리는 대가로 누군가는 이렇게 목숨을 건 질주를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면 사회 구조적으로 라이더들에 대한 안전과 복지를 위한 대책 마련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현실은 유령의 회사와도 비슷한 플랫폼에 의해 모든 과정이 진행되다보니 책임 질 사람도 없는 셈이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