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든다는 것 헨리 나우웬 영성 모던 클래식 7
헨리 나우웬 지음, 최종훈 옮김 / 포이에마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나이 든다. 한 명도 예외가 없다. 모두가 나이듦을 경험할텐데 유독히 나이 든 사람들을 낮게 보는 이유가 무엇일까. 나이 들어가는 것을 초라하게 생각한다. 창피하게 생각한다. 어떻게든 나이 들었음을 감추려고 한다. 젊다는 얘기를 듣고 싶어한다. 나이보다 젊게 보인다고 말해야 상대방이 기분 좋아할 것임을 안다. 그래서 마음에도 없는 말을 한다. 나도 예외가 아니다. 누군가 나이 들어보인다고 하면 살짝 당황한다. 반면 젊게 보인다고 하면 순간 입꼬리가 올라간다. 나이 든다는 것은 정말 부끄러운 일인가?

 

헨리 나우웬은 늙어간다는 것을 보살핀다는 것으로 정의한다. 늙어 가는 사람은 보살핌을 받아야 할 대상이기도 하지만 보살피는 주체가 된다. 보살피는 주체가 된다는 말은 무슨 말인가? 

 

"노인은 누구나 늙어간다는 사실을 젊은 세대에게 상기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 (172쪽)

 

젊은이들만 모여 있는 대학에서는 자신들이 나이 들어 간다는 사실을 놓치게 된다. 한 가정에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손자, 손녀들이 함께 살아갈 때 나이 들어간다는 것이 무엇인지 저절로 배우게 된다. 헨리 나우웬은 인간이 발전하고 성장하려면 세대 간의 창의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야 한다고 말한다. 직장 안에서도 같은 원리가 작용한다. 젊은 구성원이 많다고 해서 크게 기뻐할 일이 아니다. 연령대가 골고루 포진되어 있을 때 원활하게 조직이 움직여 가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나이 들어감이 무엇인지 구성원들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나도 차차 나이가 들어가면 일의 속도가 느려지고 행동도 굼뜨게 되겠구나를 깨닫게 된다. 나이 들어감을 미리 공부하는 거다. 

 

"우리는 다른 이들을 위해 존재한다" (143쪽)

 

나이 들어가는 이들을 보살피는 존재가 사람이라는 얘기다. 우리 사회는 나이 든 이들을 피해야 할 존재로 생각한다. 요양원으로 몰아 넣어야 하는 존재로 생각한다. 힘이 약한 존재, 가난한 존재, 성장이 멈춘 존재로 구분한다. 그러나 헨리 나우웬은 존재 자체를 가치 있게 바라본다. 약하고 병든 나무가 쓸모 없는 목재가 아니라 나중에 새들이 깃들이는 훌륭한 안식처이자 사람들의 휴식처가 되듯이 나이 들어가는 사람도 이와 같다고 생각한다. 

 

인생을 서로 나눠야 할 선물로 생각하는 것과 인생을 단단히 지켜야 할 재물로 생각하는 것과 확연한 차이가 있다. 인생의 성공 유무를 존재 자체가 보는 것이 아니라 돈의 많고 적음, 권력의 유무로 보게 된다. 우리 자신도 나이가 들어가면서 과거에 집착하게 된다. 그럴수록 불안과 죄책감, 절망과 우울 속에 갇히게 된다. 왕년에는 이랬는데라는 말은 지금 나이 들어감을 스스로 부끄럽게 생각하는 처사다.

 

"가난이란, 삶을 지켜야 할 자산이 아니라 나눠야 할 선물로 여기는 마음을 가리킨다" (127쪽)

 

헨리 나우웬은 나이 든다는 것을 가난과 긍휼, 용납과 직면으로 바라본다. 소망과 유머, 통찰 있는 삶으로 정의한다. 나이 든 이들이 언제든지 자신을 찾아오는 이에게 자신의 시간을 내어 주며 성심껏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이 곧 가난하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말한다. 나이 들어갈 때 인생을 정직하게 바라보게 된다. 허황된 꿈을 쫓는 삶이 아니라 현실에 자족하는 삶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