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국의 결국은 말입니다
강원국 지음 / 더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 잘하는 사람은 말만 잘하는 사람과는 다르다. 

말 잘하는 사람은 말하는 태도부터 남다르다.

말 잘하는 사람은 말하기보다 듣기를 먼저 한다.

말 잘하는 사람은 상대방의 마음을 살피며 말을 한다. 

 

말 잘하는 것은 선천적인 능력일까 후천적 능력일까. 아마도 후자가 아닐까 생각한다. 말 잘하기 위해서는 공부가 필요하다. 처음부터 말 잘하는 사람은 없다. 시대가 바뀌면서 말 잘하는 사람의 유형도 달라지기 때문에 말을 잘 하기 위해서는 배워야 되고 훈련되어야 한다. 특히 리더를 꿈꾸는 사람은 말 잘 하는 공부가 필수다. 리더는 말 할 기회가 많다. 말에도 약이 되는 말이 있고 독이 되는 말이 있다. 리더는 조직을 살리는 약이 되는 말을 해야 한다. 말하기부터 배워야 한다. 아니 말하기보다 말하는 태도부터 배워야 한다. 리더는 갈등을 조정하기 위해 세워진 사람이다. 이해관계가 다르고 각자 입장이 다른 구성원들의 의견을 듣고 갈등을 조정해 내기 위한 말을 할 줄 알아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말하는 태도다. 겸손하게 말하기, 낮은 자세로 말하기, 존중하는 마음으로 말하기....

 

저자는 말을 잘 하기 위한 상황별 맞춤식 말하기 전략을 자세하게 안내해 준다. 저자가 말한 대로만 실천해도 욕먹을 일은 없을 것 같다. 리더라면 그를 따르는 구성원들이 많아질 것이다. 왜냐면 말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들의 마음을 읽고 필요한 말만 하는 리더에게 누가 돌을 던질 사람이 있겠는가. 만약 말을 글쓰기처럼 한다면 어떻게 될까? 글을 쓸 때 말 할 때보다 더 신중하게 생각하고 쓴 글도 다시 돌아보며 혹시 틀린 글이 없나 살펴보며 마지막까지 고민한다. 말하기도 글쓰는 것처럼 한다면 결코 실패할 경우가 없다고 본다. 최고의 말하기 고수는 글쓰기 고수처럼 하면 된다. 글을 쓸 때 말하는 것처럼 쓰라고 한다. 말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글 쓰는 것처럼 말하면 된다. 

 

말을 잘 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노력이 필요하다. 때에 맞는 말을 하기 위해서는 말하는 목적에 맞게 말해야 한다. 말에도 형식이 있다. 설득하기 위해서는 분명한 논리와 근거가 뒷받침되어야 하듯이 말도 상황에 맞는 형식을 갖춰 말해야 한다. 명문장을 암기해 두면 쓸모가 많다고 한다. 장황하게 늘어 놓는 말보다 속담이나 명언을 빗대어 표현하면 아주 정갈한 말하기가 될 수 있다. 

 

누구나 말할 수 있지만 아무나 말을 잘 할 수 없다. 제일 좋은 것은 침묵이고 더 좋은 것은 간략하게 필요한 말을 하는 것이다. 말하기 전에 메모를 해 두거나 글로 옮겨 놓고 반복하면 좋을 것 같다. 편하게 말하는 것보다 신중하게 말하는 것이 듣는 이가 편하다. 말하는 사람이 편하기보다 듣는 사람이 편할 때 말을 잘 하는 경우가 된다. 하루 아침에 말을 잘 할 수 없으니 지금부터라도 차곡차곡 말 잘하는 방법을 공부하고 조금씩 숙달시켜가면 좋을 것 같다. 

 

나도 올해로 교감 3년차에 들어선다. 교만하기 쉬운 때다. 그동안 쌓아 놓은 점수를 까먹기 쉬운 때다. 근무지도 익숙해졌고 하는 일도 반복하다보니 눈에 익고 함께 하는 구성원들도 처음보다 익숙해지다보니 말을 함부로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처음에는 안 그랬는데 점점 지시하고 내 생각을 많이 주입하려든다. 위험한 징조다. 말하는 태도부터 고쳐가야 할 것 같다. 말하기도 최대한 신중하게 해야겠다. 갑질의 주인공이 내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결국 말에서 시작된다. 말에서 품격이 시작된다. 내가 내뱉는 말에서 내 마음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조심 조심해야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