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이들 - 느린 학습자와 발맞춰 걷기 휴먼테라피 Human Therapy 83
박찬선.장세희 지음 / 이담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계선 지능 아이, 분명 장애 아동은 아니지만 일반 교육과정에서는 큰 어려움을 보인다는 점이다. 특히 인지적, 정서적, 의사소통에서.

 

또래 관계에서의 부적응의 문제를 어떻게 접근해야 할 지, 어떻게 느린 학습 속도를 배려해야 할 지(절대로 문제 풀이식 접근은 금지) 선생님들이 고민하는 지점이다.

 

경계선 지능 아동을 위한 5가지 맞춤형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으니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학습, 신체활동, 독서, 미술활동, 사회성]

 

경계선 지능은 경계선 지적 기능을 줄여서 부르는 용어다. 보통 IQ 70~85 사이에 속하는 아동들이며 실제로는 IQ 70~79 사이의 지능을 나타내는 경우로 해석된다. 이들에 대한 도움과 배려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필수라는 점을 먼저 이해해야 할 것 같다.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성장할 수 있으며 주의력이 부족하여 낮은 기억력을 보인다. 누군가 쉽게 설명해 줄 때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인지적 한계로 낮은 자존감을 보인다. 이것은 교우 관계에서 공격성으로 방어적 태도로 나타난다. 

 

학습장애, 학습부진, 지적장애, ADHD와 분명 다르다. 학습장애는 지능이 정상범주에 속하지만 선천적으로 결함을 지닌 상태다. 반면 경계선 지능의 아이는 전 영역에서 평균 이하의 인지능력을 보인다. 학습부진은 말그대로 지능은 정상이지만 낮은 학습능력을 보이는 상태이며 지적 장애는 보통 특수학교 또는 특수학급에 배치된다. ADHD는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이 부족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인다. 따라서 경계선 지능의 아이에 대한 학습적 배려가 필요한 것은 분명하다. 

 

경계선 지능의 아이들은 자라나면서 지적인 성장을 적절하게 받지 못한 경우도 많다. 이에 취약한 언어영역과 사회성을 건들어준다면 지적 능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지능지수라고 하는 수치의 변화보다는 아동들이 보이는 부적응의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이고, 극복을 한다면 일반학생들처럼 생활할 수 있는가에 관한 문제다" _39쪽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들의 느린 학습 속도를 어떻게 해야 될 지 고민해야 하는 지점이다. 이들은 자신의 노력과 의지와 관계없이 어려움을 보인다. 일반아동과 지적장애 아동 사이에 있는 위험군 아이라고 인식하고 새롭게 접근해야 한다. 학습적 배려가 필요하다. 정서적으로 쉽게 폭발하기에 이것을 감안하고 사회성 발달을 도모해야 한다. 또래 관계에서 소외되고 따돌림되는 경우도 대비해야 한다. 눈치가 없어서 환영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경계선 지능을 위한 특별한 활동이 필요한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