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러티
콜린 후버 지음, 민지현 옮김 / 미래지향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녀의 비극적인 죽음에서 시작된 부부의 비극적인 최후

 

책 띠지에서 보는바와 같이 아마존 차트에서 연일 진기한 기록을 세우고 있는 소설이라고 한다. 한국에서도 출간된지 불과 얼마되지 않아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듯 하다. 저자에 대해 아는 바는 없지만 심리 스릴러라는 장르가 보여주듯이 책장을 덮을 때까지 왜 그들은 각자 자녀의 죽음을 두고 오해하며 돌이킬 수 없는 시간들을 보내야 했을까 싶다. 

 

이야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독자들도 읽어보면 알겠지만 반전의 반전을 보게 된다. 그리고 깔끔하게 마무리되지 않은 체 이야기의 뒷 이야기는 독자들의 상상에 맡겨버리는 저자의 배려심(?)에 놀라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주인공 '배러티'는 왜 오랫동안 뇌사 판정을 받은 식물인간의 흉내를 내며 살아야했을까? '적대적 글쓰기'라는 새로운 소설쓰기 기법을 통해 자녀를 잃은 고통과 아픔을 해소하려고 했다면 이 사실을 왜 남편 제러미에게 알리지 않았을까? 자신이 쓴 '자서전'은 단지 소설이었다고 일치감치 이야기하지 않았을까? 자신이 자녀에게 가진 모성애는 비뚤어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남편 제러미가 자신이 쓴 꾸며낸 자서전을 보며 오해했다고 말하지 않았을까? 자신의 죽음이 임박했음을 직감한 배러티는 자신의 침대 아래쪽 마루 널판지 한 부분을 뜯어내 남편 제러미에게 보내는 편지글을 숨겨둔다. 그리고 이 편지를 또 다른 주인공 로웬이 읽게 된다. 

 

배러티를 대신하여 소설을 마무리 짓고자 제러미의 집에 들어간 로웬은 배러티의 '적대적 글쓰기' 기법으로 쓴 배러티의 자서전을 읽으며 실제 이야기인양 받아들인다. 배러티를 희대의 살인마로 여긴다. 쌍둥이 딸을 죽이고 심지어 마지막 살아남은 아들 크루도 죽일 악한 사람으로 여긴다. 로웬의 확신은 배러티의 자서전을 읽으며 더 확신을 갖게 된다. 제러미, 로웬 모두 배러티가 쓴 '적대적 글쓰기'의 기법으로 쓴 '자서전'을 읽고 배러티를 오해하고 배러티를 불쌍히 여기는 것이 아니라 없어져야 할 대상으로 여기게 된다. 

 

심리 스릴러라는 장르가 이런 걸까. 주인공들의 심리가 복잡하게 얽히며 돌아간다. 어떤 것이 진실인지 착각이 들 정도로 배러티를 악한 대상으로 철썩같이 믿게 하며 이야기를 읽게 만든다. 그리고 의외의 단서를 통해 모두가 판단한 것들이 잘못되었음을 넌지시 알려준다. 단 몇 줄의 문장을 통해서. 콜린 후버라는 작가의 필력에 놀라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만약, 이 책이 영화로 만들어진다면 많은 이들이 뇌사 판정을 받고 식물인간으로 오랫동안 연기하며 살아간 배러티에 대해 시종일관 비난하며 지켜보다가 막판에 입을 떡 벌린 정도로 자신이 잘못 판단했음을 후회하게 만들지 않을까 싶다. 반면, 자상한 아버지이자 남편이라고 생각했던 제러미에 대해 많은 이들이 오히려 혼동하지 않을까 싶다. 

 

글쓰기를 통해 가정 안에서 겪었던 고통과 아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노력했던 배러티. 그 노력의 결실로 많은 작품들이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가정에서는 물질적인 부유함을 안겨주었지만 결국은 그녀의 글쓰기가 자신을 비극으로 이끄는 도구가 될 줄이야....

 

글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