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마음에 이름을 붙인다면 보통날의 그림책 1
마리야 이바시키나 지음, 김지은 옮김 / 책읽는곰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은 겉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그냥 지나치거나 심각하지 생각하지 않고 뒤로 미뤄두는 경우가 많다. 표정이나 말투, 행동은 즉각 보여지기에 조심하게 되거나 반응하는 순간을 놓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물론 요즘처럼 마스크로 얼굴의 반을 가리고 있기에 표정을 읽기가 예전만큼 쉽지는 않지만 그래도 눈가의 미세한 근육의 흔들림을 통해 상대방의 감정을 읽어낼 수 있다. 

 

그런데 비대면이 일상화가 된 요즘 스마트폰으로 주고 받는 카톡, 문자 또는 통화 음성만으로는 상대방의 마음을 읽어내기란 여간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간의 오해가 생기고 감정의 골이 깊어지는 경우가 많다. 만나서 대화를 하면 쉽게 감정을 읽어내며 소통의 길을 열어낼 수 있는데 비대면이 익숙해 지는 분위기여서 감정 소통을 어떻게 해 가야할지 고민이다. 

 

혹자는 학교에 근무하면 행복하지 않냐고 물어본다. 물론 타 직장에 비하면 구성원 자체가 순수 그 자체이기 때문에 행복한 것이 상대적으로 크게 다가오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학교에 근무하는 나의 입장에서는 결코 호락호락 넘어가는 날이 많지 않다. 교직원들 간의 서로 다른 생각들, 학부모님들의 요구사항, 학생들 간의 생각지 못한 다툼 등 사람들이 사는 곳이라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것이 감정의 대립이다. 결국 학교도 사람 사는 세상이고 살아 있는 곳이라는 반증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편한 것은 사실이다. 무 짜르듯 쉽게 해결점을 찾을 수 없는 것이 사람의 마음이고, 감정의 대립이기 때문이다. 

저자 정혜신 정신과 의사는 "자격증 있는 사람이 치유자가 아니라, 사람을 살리는 사람이 치유자"라고 말한다.

 

나는 어떤가? 

 

담임교사와 학부모 간의 사소한 감정 대립이 있을 경우 교감은 난처하다. 누군가는 교사 편을 들어야 하지 않냐고 말한다. 교감이 교사 편을 들어야지 누가 교사 편이 될 수 있냐고. 맞는 말이다. 옳은 말씀이다. 교감은 교사를 살리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시대적 요구이기도 하다. 그러면서 동시에 학교도 교육행정기관이기에 학부모의 담임교사에 대한 요구사항을 <민원>으로 접근할 수 밖에 없다. 민원 접수를 받은 교감은 교사 편이 아니라 냉정하게 줄타기 하듯이 문제의 원인이 무엇이며 어떻게 민원인의 불편사항을 적절하게 대답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된다. 이 지점에서 교사는 불편해 할 수 있다. 서운해 할 수 있다. 하지만 전제적인 과정을 길게 바라보게 되면 그런 불편함은 기우임을 알게 된다. 교감은 교사를 살리는 사람이기도 하지만, 민원인(학부모)을 살리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참 어렵다. 지식을 쌓는다고 될 수 있는 게 아니다. 인생의 경험, 연륜이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은 '사람의 마음'을 공감해 주려는 자세와 태도가 아닐까 싶다.

 

그림책 『당신의 마음에 이름을 붙인다면』은 세계 각국 71개에서 쓰이는 마음을 표현하는 단어들이 예쁜 그림과 함께 소개되고 있다. 영국, 독일, 그리스, 덴마크, 이집트, 인도, 아이슬란드, 스페인, 이탈리아, 중국,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핀란드, 프랑스, 스웨덴, 일본.... 나라는 달라도 마음을 표현하는 단어들은 비슷한 뉘앙스를 풍긴다. 

 

앞으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만나는 사람들의 마음에 나만의 이름을 붙여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솜사탕같은 마음을 만나고, 성난 파도와 같은 짙은 먹구름 같은 마음을 만나고, 습기를 머금고 있는 스폰치 같은 마음을 만나고.... 사람을 만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만나고 있다고 생각하면 한결 가볍게 생활할 수 있을 것 같다.

 

http://blog.naver.com/bookwoods/2228034461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