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으로 시작하는 학급경영 - 행복한 1년 학급살이를 위한 그림책 함께 읽기, 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그림책 학교 9
수업친구 더불어숲 지음 / (주)학교도서관저널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그림책이 대세인가보다. 그림책의 장점은 글밥이 적고 그림이 주제를 담고 있어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들이 접근하기에 아주 좋다. 어른들도 그림책을 통해 많은 영감을 얻을 정도이니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그림책은 부담없이 편한 마음으로 읽을 수 있는 책이 아닐까 싶다. 학교 현장에서는 그림책을 도구로 연구하는 교사 모임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학부모 모임에서도 그림책은 단골 손님이다.  이 책의 공저자인 수업친구 더불어숲 교사들도 그림책을 활용하여 학급경영을 운영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신규 교사 뿐만 아니라 학급의 새로운 변화를 바라는 교사들에게 단비와 같은 책일 것 같다. 그림책을 읽고 어떻게 적용해야 할 지 읽어내려가다보면 자신만의 톡톡 뛰는 아이디어가 떠오를 것이다. 누구나 설레고 두렵기도 한 학기초 첫 만남에서도 어김없이 그림책을 활용하여 학생들 간 서로의 얼굴을 익히고 마음문을 여는데 그림책을 활용한다. 인사하기를 주저하고 자기 소개하기를 부끄러워하는 아이들도 그림책 주인공처럼 먼저 손을 내밀고 마음을 열 수 있도록 교사들이 살짝 유도해 주기만 하면 된다. 이때 그림책은 훌륭한 도구가 되고 막힌 담을 허무는 중요한 키(열쇠)가 된다. 

 

정서는 학습하는데 중요한 방향타 역할을 한다. 풀이 죽어 있고 걱정 근심이 있는 상태로 학교로 온 학생이 과연 수업 시간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할 수 있을까? 안 봐도 머릿속에 훤히 그려진다. 고개를 숙이고 있거나 눈은 떴으나 아마 생각은 따른 곳에 가 있을게 뻔한다. 불안하고 슬프고 상한 감정을 간직한 학생에게 필요한 것은 정서를 살피는 일일게다. 듣는 것도 4단계가 있다고 하지 않나. 귀로 듣고 마음으로 듣고 영혼으로 듣고, 마음을 비우고 듣고. 정서를 살피는 일도 마찬가지다. 정서를 표면으로 꺼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도구들이 몇 가지가 있다. 그 중에 단연 으뜸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그림책이다. 그림책을 통해 등장하는 인물과 자신을 비교하거나 등장인물이 되어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다. 이차적으로 감정카드를 활용해 솔직하게 자신의 감정도 드려내는 작업도 할 수 있다. 정서와 감정이 급선무로 해결 될 때 학습에 집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교사들이 함께 모여 연구한 결과물들이 책으로 많이 나오고 있다. 연구회 교사들의 책의 특징은 실천 사례로 소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단지 이론적 연구나 학문적 고찰의 연구도 도움이 되긴 하지만 바쁜 일상을 살아가고 있는 교사들에게 유용하게 적용하고 사용할 수 있는 사례 중심의 책은 마치 책을 읽는 내내 현장에 있는 듯한 착각이 들 정도로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다. 나처럼 교실 교사가 아닌 교감도 읽는 내내 무릎을 치며 읽었을 정도니까 말이다. 

http://blog.naver.com/bookwoods/2223328209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