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교사와 교사 되기 - 우리의 교사와 학생들이 세계의 BTS(The best teacher and student)가 되기를 꿈꾸며
이혁규 지음 / 교육공동체벗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주교육대학교총장이자 수업비평의 학문을 연 이혁규 교수께서 쓴 책이다. 지금의 한국 교사들의 현 상황을 체크하며 전문가로써 교사 되기를 위한 다양한 측면에서 제안을 하고 있다. 먼저 한국 교사들의 현 상황을 점검하는 부분에서는 여러 생각이 교차했다. 교사가 인기 직업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현직 교사들의 자존감이 다른 국가에 비해 바닥을 치고 있다는 실태 분석을 보면 왜 그런 지경이 이르게 되었을까 생각해 본다. 지금도 여전히 고등학생들의 장래 희망 조사에 의한 대학 진학 목표를 보면 여전히 교사 되기 위한 진로 방향을 우선적으로 잡고 있으며 꽤 높은 성적이 아니면 교육대학교 진학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 우수한 교육대학 학생들이 교사로 임용되어 학교 현장에 나왔을때 그들이 부딪치는 현실은 결코 희망적인 것만 있는 것이 아님을 직시하게 된다. 가르쳐야 할 교과 내용은 충분히 알고 현장에 나왔지만 진작 중요한 가르치는 방법, 학생을 대하는 방법, 학부모의 요구 사항에 대처하는 방법, 학교를 둘러싼 지역 사회에 적응하는 것 등 교사 되기 과정에 어려움을 토로하는 것을 자주 목격하게 된다. 왜 그럴까?

 

저자 이혁규 교수는 한국의 교사와 교사 되기 사이의 간극이 크다는 사실을 여러 가지 객관적 자료로 비교하고 해석을 내 놓았다. 먼저는 한국의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교 또는 사범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 되기에 적합하지 않음을 꼬집어 비판한다. 특히 교육대학교에 비해 종합대학교 내에 있는 사범대학의 교수진, 대학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부분이 교사 되기보다는 임용 고시 합격을 위한 시험 준비 장소로 전락당하고 있다고 우회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그 일례로 중등교사가 되는 길이 하늘에 별따기임을 알 수 있다. 자격증 남발로 임용고시 합격 정원에 훨씬 넘치는 교사 자격자들에 의해 임용의 문은 점점 좁아지고 있고 학부 과정은 그야말로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장소로 변질되어 있다고 말한다. 그에 비해 교육대학교는 양호한 편이다. 이에 저자는 양질의 교원 양성 체계를 위해 4년제에서 5년제로 개편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핀란드처럼 1년 동안 실습할 수 있는 시간은 부여하지 않더라도 좀 더 체계적이고 현장 중심형 실습 과정을 위해서라도 교원 양성 대학의 학제를 1년 더 확보하여 전문성도 키우고 실제적인 교원 양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교사는 시험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으로 성장할 때 교사 되기가 될 수 있다. 교사 되기의 종착점은 역시 수업 전문성에 있다. 수업은 자신의 수업 성찰을 꾸준히 하는데에서 비롯된다. 자신의 수업을 돌아볼 수 있는 전문적인 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교직 사회의 수업 나눔, 수업 성찰 분위기가 자리잡아야 한다. 최소한의 교사의 전문성을 체크할 수 있는 기준안도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기준안을 통해 최소한의 교사 전문성을 외부로부터 인정 받으며 좀 더 나은 교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가야 한다. 

아래는 책을 읽으면서 밑줄을 그어 놓은 부분이다. 되새김질할 문장들이다. 

 

10. 우리나라 교사들을 생각하면 좁은 벽장에 갇힌 거인의 이밎가 떠오른다. 

14. 미래의 교사는 잘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잘 배우는 사람이어야 한다. 

29. 자기 주도적 교사는 자신의 수업 실천을 끊임없이 관찰하여 개선하는 성찰적 안목을 가진 교사이며...

47. 아무리 내용 전문가라고 하더라도 학습자의 눈높이로 내려가서 그 발달(성장) 과정을 이해하고 성장을 촉진하는 능력이 없으면 잘 가르칠 수가 없다. 

161. 교사는 추상적 지식을 학생들이 경험 가능한 현실로 다시 풀어내는 활동을 한다. 

167. 교사는 특별한 품성과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교사는 교과를 깊게 이해해야 하며, 동기가 부족한 학생들을 배움으로 이끌 수 있는 역량을 지녀야 하고, 민주 시민으로서 모범적인 삶을 영위해야 하며, 스스로 학습하는 존재로서 성장을 계속 할 수 있어야 한다. 

300. 오늘날 교사는 수업을 잘 설계하고, 능숙하게 실행하며, 실행 후 성찰하고, 동료들과 더불어 성장하는 존재여야 한다. 

405. 21세기 현실에서 교사 되기의 핵심은 무엇일까? 배움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으로 끊임없이 성장하는 삶의 태도를 연마하는 것이 교사 되기의 핵심이다. 

https://blog.naver.com/bookwoods/2225892822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