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교육지구 현장을 가다 - 혁신교육지구의 과제와 전망
이용운 외 지음 / 살림터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 도심 한 복판에서 마을교육공동체를 실천하는 사례를 담아낸 책이다. 학교가 중심이 되어 교육 거버넌스를 실천하는 것을 마을과 함께 하는 교육으로 말하고 있으며, 마을의 기관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마을교육으로 정리하고 있다. 서울형 마을교육공동체의 두 가지 방향이라고 할 수 있는 '마을과 함께 하는 교육'와 '마을교육'의 구체적 실천 사례를 통해 학교라는 경계를 넘어, 교사라는 벽을 뛰어 넘어 학생들을 어떻게 성장시키려고 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다.

 

먼저, 마을과 함께 하는 교육은 학교가 중심이 되어 마을의 교육자원을 찾아가거나, 학교로 가져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8쪽) 마을의 교육자원을 찾아가는 일은 마을을 통한 교육이며, 마을의 자원을 학교로 가져야 연계형 교과 수업 또는 교육과정 재구성으로 담아내는 일은 마을에 관한 교육으로 정리할수 있겠다. 두 번째 마을교육은 아이들이 마을에 마련된 교육기관을 찾아가 주민이 중심이 된 마을강사로부터 교육을 제공 받는 일은 마을을 위한 교육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 학생들도 성장하면 마을 주민이 될 것이며 로컬 인재로 자리잡아 지속가능한 마을을 유지하는데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학교가 좋은 수업을 위해 마을의 교육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학교교육으로 가져와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서 수업을 하는 것" 이 곧 마을교육공동체가 지향해야 하는 방향이 아닐까 싶다. 아이를 키우는 일에 마을교육공동체가 함께 해야 한다. 수업이 곧 마을의 일부가 되고 마을이 수업이 될 때 학생의 실제 생활과 맞는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학교 교사 혼자만이 학생 교육이라는 무거운 짐을 메고 갈 것이 아니라 마을교사에게 손을 내밀어 함께 해 나가야 한다. "학교 교사는 마을을 탐구 대상으로 삼아야 하고, 때로는 마을자원을 탐방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을 꾸미는 일을 고민해야" 한다.

 

"학교에 마을을 담지 않는다면 학교교육은 초라하다" (27쪽)

 

마을을 교육에 담아내야 하고 교육과정에 포함시켜야 한다. 마을이란 학생이 사는 터전이고 어른들이 함께 더불어 사는 공간이며 가치관이 공유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학교는 마을교육공동체의 구성원으로 마을과 함께 교육을 해 나가야 한다.

 

마을교육의 주체이기도 한 마을교사가 좀 더 활성화되기 위해 저자들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 학교교사와 마을교사 또는 학교와 마을교육공동체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기 전 사전단계에서 원활한 컨설팅을 통해 수업 만들기를 함께 해 갈 것을 제안하고 있다.

 

두 번째 마을교사의 안정적인 진로를 위해 인증 및 경력 인정 시스템이 마련되기를 원한다.

 

세 번째 마을교사들이 학교로 들어왔을 때 그들만의 공간 및 자료 확보를 원한다.

 

마지막으로 학교교사와 마을교사 간의 책임과 역할 배분을 위한 명확한 규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수평적인 관계이자 상호보완적인 역할 인식으로 간다면 무엇보다도 학생들에게 큰 유익이 있지 않을까 싶다. 함께 소통하고 협력하는 일이 결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마을교육공동체의 필요성에 대해 함께 공감하기에 행정적, 재정적인 어려운 점들을 지혜롭게 풀어나갈 과제가 남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