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 카네기 성공론 - 날마다 마음속에 성공을 그려라
데일 카네기 지음, 이현주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일 카네기의 성공론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앞서서 걱정하지 말라, 걱정하지 말고 일단 부딪쳐 보라, 정 내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일이라면 그냥 운명이라 생각하고 담담히 맞아라" 라고 정리할 수 있겠다.

 

걱정 근심 없는 사람 누가 있겠느냐마는 진정으로 성공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걱정과 담을 쌓을 수 있어야 한다. 걱정한다고 해서 걱정거리가 한 자라도 줄어드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정말 걱정 근심에 쌓여 살아간다. 인간의 본성 자체가 걱정 근심을 향하도록 만들어진 것이기에 왠만한 결심 없이는 걱정 근심을 떨쳐낼 수 없다. 데일 카네기는 걱정 근심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훈련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과연 걱정 근심을 훈련한다고 해서 벗어날 수 있을까? 의구심이 들겠지만 데일 카네기는 자신의 삶 속에서 그러한 훈련을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믿기지는 않겠지만 위험한 고비들을 넘겨 성공학이라는 학문을 만들어내기까지 했다. 이 책에서는 데일 카네기 주위에 있었던 많은 사람들의 경험들과 이야기들을 예로 들면서 걱정이야 말로 성공을 좀 먹게 하는 유일무이한 적이라고 강조한다. 그렇다면 데일 카네기가 어떻게 걱정과 담을 쌓으면 살았는지 궁금한 독자들이 있다면 과감히 책장을 열어보면 좋을 듯 싶다. 예화를 읽듯이 이야기의 맥락을 따라 읽어가다보면 걱정을 줄이는 다양한 방법들을 알게 될 것이다. 아는 것을 넘어 이제 실천할 일이 남아 있다. 이것은 독자의 몫이니라.

 

"왜냐면 이러한 상록수는, 굴하는 법과 가지를 굽히고 불가피한 상황에 협력하는 법을 알기 때문이다" (165쪽)

 

처세술이라고 할까. 상록수가 꺽이지 않고 생존할 수 있는 방법은 바람부는 대로 굽힐 때는 굽히는 것이다. 아무리 덩치 큰 상록수라 할지라도 역대급 태풍 바람 앞에 장사가 없다.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지혜롭게 협력할 수 있어야 한다. 성공의 방법이라고 해야 되지 않을까 싶다. 아첨과 타협은 다르다. 아첨은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서 거짓된 모습을 보이는 것이라면 타협은 어떤 일에 타협하고 양보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아첨이 아니라 타협이다. 걱정이 될 만큼 큰 일이 일어났을 때 타협은 절묘한 한 수가 될 수 있다. 내 힘으로 해결 할 수 없는 일이라면 과감히 내려 놓아야 한다. 걱정거리에게 걱정을 양보해야 한다. 이게 지혜로운 모습이다.

 

"사소한 일에 목숨걸지 않는다"

 

내가 좋아하는 말이다. 목숨 걸 일이 아니라면 크게 다투거나 싸우려고 하지 않는다. 그냥 적당히 넘어갈 때도 많다. 그런데 사소한 걱정 앞에 안절부절 못하는 나의 모습을 자주 발견한다. 미리 걱정하는 타입이다. 일이 진척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큰 일이 마치 일어난 것처럼 걱정을 사서 한다. 물론 미리 걱정하면서 앞으로 일어날 일들을 미리 대비한다는 측면도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알게 되는 것이지만 미리 걱정한 시간이 참 후회되고 에너지가 소모되어 기진맥진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걱정 앞에 지혜로운 행동은 "될 때로 되라" 라는 심정으로 무심한 상태로 걱정을 놓아주는 자세가 필요함을 느낀다.

 

민원이 접수되거나 화를 내면 학교로 전화를 걸어오는 학부모님들을 대할 때면 걱정부터 앞선다. 최악의 경우를 미리 머리 속에 떠올리며 상황에 완전히 매몰되는 경험을 자주 했다. 최악의 상황에 간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앞서서 걱정한다. 사람의 감정이라는게 시간이 지나면 가라앉기 마련이다. 지금 당장 뭐라도 큰 일을 할 것처럼 이야기하는 민원인들도 다음날이 되면 한 풀 꺽인다.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도 지혜다.

 

데일 카네기의 성공론, 거창하지 않다. 걱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된다!

 

https://blog.naver.com/bookwoods/2226082996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