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회의와 협업 - 뮤랄과 미로를 활용한 온라인 퍼실리테이션
한봉규.이병훈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젊은 교사(MZ세대)들에게 물어보았다. 교직에 들어와서 가장 부담스러운 것이 뭐냐고. 그랬더니 대번 하는 소리가  학부모 만나는 것이라고 했다. 젊은 교사가 자신보다 나이 많은 학생의 부모를 만나는 일이 가장 부담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하니 순간 예상 밖에 대답이라 놀랬다. 왜 그럴까? 나의 교사 생활을 뒤돌아보면(20대) 교장 또는 교감 선생님이 더 부담스러웠지 학부모를 만나는 일은 오히려 기대가 되고 만나서 무슨 말을 할까? 아이에 대해 뭘 궁금하실까? 등 그럭저럭 좋은 기회라는 생각으로 학부모와의 상담 시간을 기다렸던 기억이 난다. 지금 학교 현장에서 학부모는 어떤 존재일까? 젊은 교사들에게 비춰지는 학부모는 어떤 존재일까? 생각해 보니 부담스러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학교 현장에서도 일체의 대면 행사가 취소되거나 연기되었다. 감염의 경로를 최대한 막기 위한 조치였다. 당연히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행사들이 취소되었다. 특히 학기초 교육설명회 또는 학부모 상담 시간은 건너뛸 수 밖에 없었다. 2022년 코로나19 팬데믹을 맞이한지 3년차 지금도 진행중이지만 2020년과 달라진 점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 또는 행사들이 취소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 개최되고 있다는 점이다. 학기초 담임교사와 학부모와의 상담 주간도 대면으로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전화 또는 이메일, 화상으로 대체되고 있다. MZ세대 젊은 교사들에게 물어보았더니 얼굴을 직접 보지 않고 비대면으로 학부모와 상담하는 것이 덜 부담스럽고 오히려 더 자연스럽다는 반응이 있었다. 그만큼 온라인으로 각종 모임을 하다보니 이제는 대면 모임이 어색하고 부담스러운 것 같다. 

 

온라인을 활용한 회의 또는 행사는 나름 장점들이 있다. 특히 감염병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지금 현 시점에서 최대의 대안 중 하나다. 사람들이 모이지 않으니 감염의 위협으로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아도 되니 시간적으로도 절약이 되고 요즘처럼 고유가 시대 교통 수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니 상당히 효율적인 방법임에는 틀림이 없다. 회의를 준비하는 입장에서도 자신에게 익숙한 온라인 도구를 가장 편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으니 준비하는 과정에서 오는 스트레스도 줄일 수 있다. 사람들과의 만남을 부담스러운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화상 회의 때에도 얼마든지 자신의 얼굴을 숨길 수 있으니 금상첨화다. 학교 현장에서 당장 학부모와의 상담 주간을 운영하면서 담임선생님들이 평소보다 덜 부담스러운 마음가짐으로 상담에 임하는 모습을 보며 앞으로 온라인을 활용한 상담, 회의 등이 대체 수단이 아니라 계획 단계에서부터 1순위로 고려해야 하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해 보았다. 

 

온라인 회의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은 아마도 회의를 주관하는 이 뿐만 아니라 회의 전체를 조율하는 퍼실리테이터가 아닐까 싶다. 온라인 회의의 장점은 기록을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된다는 최대의 장점이 있다. 회의 기록을 남겨야 하는 모임이 있기에 주관하는 사람이나 그 역할을 맡은 이들은 회의 중에도 사실 상 집중하기보다 회의 결과를 어떻게 정리할까에 몰두하게 된다. 회의가 끝나도 끝난 것이 아니라 마무리를 해야 하는 일이 남아 있기에 회의 자체가 크게 달갑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온라인 회의는 도구 특성상 녹화도 가능하고 별도의 기록을 하지 않더라도 회의 내용들이 고스란히 남기에 얼마든지 필요한 대로 정리가 가능하다. 퍼실리테이터는 회의를 최대한 편한 분위기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회의 방향을 상기시키기도 하며 시간이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관리하기도 한다. 

 

<온라인 회의와 협업>이라는 책은 온라인을 활용한 회의의 장점과 단점, 앞으로의 시대는 온라인을 주요 도구로 활용할 수 밖에 없음을 강조하며 다양한 온라인 도구 중 뮤랄과 미로라는 도구 사용법과 퍼실리테이션 기법 등을 소개하고 있다. 가장 바뀌지 않는 곳이 학교라고 한다. 팬데믹 상황이 어느 정도 종료가 되더라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온라인에서 다시 대면으로 회귀할 수 밖에 없는 현실적 이유가 있다. 다만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외에 각종 회의나 협의는 그나마 지금 활용하고 있는 온라인 도구들을 포기하지 않고 사용하지 않을까 싶다. 일반 기업체나 사회 전반적인 분야에서는 코로나19 이후 근무 형태가 급속도록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편리하고 좋은 점을 한 번 경험해 보았기에 과거로 다시 돌아가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다만 편리한 온라인 도구를 활용한 회의 또는 협의 시 소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 시대가 될 것 같다. 

 

https://blog.naver.com/bookwoods/2219918695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