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비닐봉지의 꿈 아롬중학년문고
강미경 지음, 박정량 그림 / 아롬주니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쓰레기는 자원이다!

 

<하얀 비닐봉지의 꿈>에서 저자는 사람들이 쉽게 사용하다 버리는 일회용 비닐봉지를 쓰레기가 아니라 자원이라고 자라나는 어린 세대에게 자원의 재활용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책의 스토리는 '하얀 비닐봉지'의 동선에 따라 이동된다. 재활용 쓰레기장에 분리하여 버려야 할 '하얀 비닐봉지'가 그만 땅에 떨어지고 바람에 실려 공중으로 나아가버리게 됩니다. 공중에서 기러기 떼도 만나고 바람도 만나고 천떡꾸러기 신세처럼 떠돌아다니다가 바닷속으로 들어간다. 바닷속 동물들도 '하얀 비닐봉지'의 존재를 꺼려한다.왜 그랬을까? 저자는 바닷속 동물들의 입을 통해 '하얀 비닐봉지'가 얼마나 위해한 존재임을 독자들에게 이야기해 준다. 

 

언론을 통해 심심찮게 해양 쓰레기 오염에 대한 소식을 듣곤 한다. 태평양 바다 한 가운데 거대한 쓰레기 섬이 두둥실 떠다니는 모습, 거북이 코에 플라스틱 빨대가 꽂혀 고통스러워 하는 모습 등은 사람들이 사용하다 버리는 쓰레기들이 해양 동물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결국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는 원인이라는 사실을 알게 해 준다. 플라스틱 페트병은 잘게 부수어져 미세 플라스틱이 되어 해양 동물들이 섭취하고 체내에 쌓이게 된다. 결국 사람들의 식탁에 오르내리며 건강을 위협하는 악순환이 되고 있다. 

 

<하얀 비닐봉지의 꿈>을 읽는 어린 독자들은 우리가 버린 비닐봉지 한 장이라도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동물들을 위협할 수 있는 흉기가 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더 나아가 사람들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저자는 친절하게 쓰레기가 자원이 될 수 있는 방법들을 이야기해 주고 있다. 

 

비닐봉지는 천연원료로 재생산되어 사회적 기반 시설을 움직이는 도구가 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페트병은 아주 잘게 부수어져서 플라스틱 조각인 플레이크로 가공되고 플레이크는 폴리머로, 폴리머는 원단의 원료가 되어 원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자세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우리가 입고 있는 옷들의 재료가 대부분 페트병을 이용해서 만든 것이라는 사실을 알면 어린 독자들의 반응이 어떨까 생각해 본다. 

 

쓰레기는 어떻게 활용되느냐에 따라 악취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범 또는 재활용하여 자원이 될 수 있다. 선택의 몫은 사람에게 달려 있다. 우리의 작은 습관 하나가 쓰레기를 자원으로 순환시킬 수 있음을 <하얀 비닐봉지의 꿈>이 이야기해 주고 있다. 

 

<이창수의 독서 향기> https://www.youtube.com/watch?v=MlxeVb-MYtk&t=442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