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즘의 오징어게임
빅토 비안코 지음, 김진욱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마키아벨리의 정치론이 최근 성행하고 있는 넥플리스 영화 <오징어게임>이라고 말한다. 먼저 마키아벨리를 살펴보자. 그는 마키아벨리는 원래부터 가진 것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일벌레였다.  14년 동안 피렌체의 시민의 자유를 위해 쉬지 않고 일한 공직자였다. 하지만 결과는 참담했다. 그를 알아주는 이가 없었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도 원래 책의 제목은 <군주정에 대하여>였다. 그가 강조한 이상적 군주는 인민과 귀족을 포괄하는 전체적인 조망이 가능한 지도자였다. 마키아벨리즘은 이상을 가진 사람은 지도자가 될 수 없다고 말한다. 너무 뛰어난 사람도 지도자가 될 수 없다고 한다. 마키아벨리가 가장 중시하는 지도자의 덕목은 탁월한 통찰력이다. 시대의 역사적 맥락을 짚어내고 국가공동체가 나아갈 방향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능력은 지도자의 필수조건이다.

 

그렇다면 <마키아벨리즘의 오징어게임>의 저자 빅토 비안코는 왜 마키아벨리즘을 오징어게임으로 보았을까? 

 

우리 사회의 단면을 자세히 살펴보자. 인구가 급격히 줄어드는 것 뿐만 아니라 일자리 마저 사라지고 있다. 파이가 줄어들고 있다. 개인 간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개인주의가 강화되고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런 수축사회에서는 특정 계층이 부를 독식하면 나머지 계층이 빈곤해 지는 제로섬 사회가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오징어게임도 그렇지 않는가. 정해진 상금을 얻기 위해 죽고 죽이는 게임을 한다. 최후의 1인만 상금을 거머쥘 수 있기에. 마키아벨리도 메디치 가문의 후원을 입어 자신이 제안한 군주 정치를 실현하고자 했지만 결국 공화정으로의 회귀를 통해 이상을 실천하지 못하고 말았다. 마키아벨리가 바라는 군주상이 바로 격이 다른 리더가 아니었을까? 높은 품격을 지닌 리더말이다. 마키아벨리는 경쟁을 유도한다. 이상적인 군주가 되기 위해서는 오징어게임을 통해 최후의 1인이 되어야 한다. 

 

"마키아벨리즘(Machiavellism)이란 통치 이론은 권모술수주의란 명칭으로도 불리운다" (93쪽)

 

오징어게임에 참가한 사람들은 사소한 정을 뿌리치고 철저하게 승리를 위해 게임의 룰대로 냉정하게 임한다. 제갈공명도 신임했던 마속을 단칼에 베어버린다. 군율을 어겼기에. 도요토미 히데요시도 피도 눈물도 없는 사람이었다고 한다. 통치를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던 다수의 사례들이 있다. 권모술수도 곧 통치의 방법이었다. 

 

당시 마키아벨리가 살았던 이탈리아 반도 안에 여러 개의 도시국가들은 스스로 강해져야했다. 강자 생존의 시대 속에 오른쪽 뺨을 맞으면 양쪽 빰을 때려야 했다. 강한 도시만이 최후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경쟁적인 수축 사회에 어떤 태도와 시각으로 살아가야 할까? 판단은 독자들의 몫이다. 

 

<이창수의 독서 향기> https://www.youtube.com/watch?v=MlxeVb-MYtk&t=442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