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권력 - 인터넷을 소유하는 자 누구이며 인터넷은 우리를 어떻게 소유하는가
제임스 볼 지음, 이가영 옮김 / 다른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만 보면 21세기 권력을 정치 또는 경제, 문화 정도로 생각할 수 있겠다 싶다. 그러나 책에서는 시종일관 <21세기 권력>을 인터넷으로 못 박고 이야기한다. 인터넷을 다스리는 자가 곧 권력자임을 강조한다. 인터넷이 개통된지는 불과 60년 밖에 되지 않았다. 6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에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이 21세기의 정치, 경제, 문화를 주도하며 권력의 중심에서 움직이고 있다. 저자는 책의 부제에서 말하듯이 '인터넷을 소유하는 자가 누구이며, 인터넷은 우리를 어떻게 소유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인터넷 중립성을 외치는 거대 권력자들의 속셈을 파헤치며 단호하게 인터넷을 규제해야 한다고 역설적인 주장을 거침없이 하고 있다. 

 

왜 인터넷을 규제해야 될까? 

 

인터넷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만약 인터넷을 중립 지대로 바라보고 민간 개발업자 또는 민간 기업에게 전권을 줄 경우 고양이에게 생선을 주는 격이 된다고 말한다. 과거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도 볼 수 있었던 바와 같이 인터넷 기업을 통해 정치적 흐름을 주도하고 인터넷 사용자들의 정보를 무차별하게 노출시키는 일을 순식간에 해 버릴 수 있는 것이 인터넷 권력을 준 이들이었다. 미국 뿐만 아니라 앞으로 전 세계적으로 정치 권력을 쥐고자 하는 이들은 인터넷을 활용할 수 밖에 없고 인터넷을 움직이는 거대한 손들을 예의주시하지 않으면 안 되는 세상이 되어가고 있다. 이에 정부가 나서든 책에서 말하는 인터넷 저항가들이 나서든 분명하게 인터넷을 규제할 수 있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미국과 중국의 인터넷 전쟁도 불이 붙기 시작했다. 현재까지는 미국이 주도하고 있지만 언제까지 독주체제를 유지할 지 낙관적이지 않은 것이 중국 인터넷 기업의 발빠른 추격이 눈부실 정도다. <21세기 권력>에서는 인터넷이 어떻게 등장하였고 어떤 기술로 오늘날까지 발전할 수 있었는지 앞부분에서 다루었으며 두번 째 장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돈을 버는 투자자들과 광고업자들의 숨겨진 영업 비밀을 파헤치고 있다. 마지막 장에서는 이 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인터넷 거대 기업들과의 전면전을 위한 무명의 사이버 전사들, 규제 기관, 저항운동가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들의 움직임들이 어떻게 보면 바위에 계란 치듯 아무런 소용이 없는 행동으로 보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작은 나비의 날개짓이 태풍으로 돌아오듯 모두를 위한 인터넷 도구가 되도록 선한 목적을 유지하기 위한 당찬 도전에 큰 박수를 보내고 싶다. 

 

<이창수의 독서 향기> https://www.youtube.com/watch?v=MlxeVb-MYtk&t=442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