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책 - 복잡한 세상을 횡단하여 광활한 우주로 들어가는
문병철.이명현 지음 / 유영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이 참 재미있다. 사.과.책. 

 

책 표지처럼 천문학자 이명현님과 정치학자 문병철님의 복잡한 세상을 읽어내기 위한 도구로 사용한 자신들만의 책읽기를 소개한 책이다. 깊고 넓은 사회책과 과학책 읽기를 독자들에게 권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천문학자와 정치학자가 지독한 책벌레 될 수 있었을까?

 

두 분 모두 82학번 친구인 것 같다. 고등학교도 동문 수학한 듯 싶다. 학창 시절 문학 동아리를 만들어 소설을 포함한 다양한 문학을 읽어내려고 했던 열정들이 대학 졸업 후 전문적인 영역을 살아가면서도 책을 손에 놓지 않고 지금껏 독서 행보를 넓혀가고 있다. 과학책방 길다를 만들어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과학의 고전부터 신간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친근하게 읽을 수 있는 책들을 소개하고 리뷰하며 서평을 쓰고 있다. 천문학자 이명현님의 이야기다. 그리고 정치학자 문병철님도 예외가 아니다. 사회과학책을 읽는 것은 곧 세상 읽기라고 말한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을 읽어내기 위해서는 자연현상 뿐만 아니라 사회현상을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을때에 설득력을 지닐 수 있다. 사회과학책을 탐독해야 하는 이유가 논리적인 사고방식을 키우기 위한 과정이라고 말한다. 

 

사실 과학책이든 사회책이든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는다면 독자들의 관심을 받기가 쉽지 않다. 과학이론도 최신 경향에 따라 기존에 진리라고 생각되었던 것도 거짓으로 바뀌고 있다. 천문학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발견 내용들이 첨부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자들이 과학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과학적 내용도 내용이거니와 과학책이 담고 있는 과학적 사고를 습득하기 위함이다. 과학은 수학적이며 객관적이기에 이러한 사고방식은 사물과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합리적으로 만들어준다. 사회과학책도 마찬가지다. 사회과학영역이 세분화되고 있다. 정치학, 경제학도 사회과학이다. 정치를 바라보는 시각도 사회과학책을 읽으면서 길러낼 수 있다. 성숙한 시민은 저절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책을 읽어낼 수 있어야 좌우로 휘둘리지 않는 시민의식을 가질 수 있다. 

 

책 곳곳에는 천문학자와 정치학자가 추천해 주는 다양한 책 목록들이 있다. 잘 메모해 두었다고 입문서로 활용하면 좋을 듯 싶다. 특히 다양한 미디어가 발전하면서 종이책으로만 독서를 고집하던 방법에서 토론, 유튜브, 영화 등 비독서 행위도 독서임을 강조한다. 어려운 분야일수록 책으로 입문하기 보다 먼저 저자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워밍업을 해 둘 것을 권면하고 있다. 

 

책읽기는 누구나해야 하는 일임에 틀림이 없다. 특정한 분야의 전문가일수록 책 읽기는 필수다. 폭넓은 독서가 깊이있는 전문성을 발휘하게 해 줄것이다. 천문학자가 소설을 읽는 이유도, 정치학자가 철학서를 읽는 이유도 복잡한 세상 속에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다. 

 

<이창수의 독서 향기> https://www.youtube.com/watch?v=MlxeVb-MYtk&t=442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