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풍요 - 돈 음식 몸 시간 장소 그리고 그리스도인
월터 브루그만 지음, 정성묵 옮김 / 한국장로교출판사(한장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전한 풍요는 하나님으로부터 나온다. 

완전한 풍요는 탐욕적인 풍요와 거리를 둔다. 

완전한 풍요는 인간이 하나님과 온전한 관계를 맺을 때 비로소 누릴 수 있다. 

 

저자는 이분법적인 사고를 철저히 배격한다. 영적인 것과 물질적 인것은 분리될 수 없다. 영적인 것이 물질적인 것에 우선하는 것도 아니다. 둘이 함께 가야 한다. 말씀과 기도, 찬양으로 하나님을 예배함과 동시에 돈과 음식, 몸과 시간, 장소를 공동체 정신으로 개인의 탐욕의 도구로 전락되지 않도록 파수꾼이 되어야 한다. 자본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은 세상과 동떨어져 살아갈 수 없다. 물질적인 것을 관리하고 다스리며 기독교의 정신을 세상 속에 나타내는 도구로 사용해야 한다. 저자는 이것을 성숙한 물질성을 지닌 그리스도인이라고 표현한다. 우리 사회의 친숙한 언어로 표현한다면 성숙한 시민성으로도 나타낼 수 있겠다. 

 

성숙한 물질성을 표현하는 5가지 요소는 이렇다. 돈, 음식, 몸, 시간, 장소. 이것은 현대 사회를 대표하는 물직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이 다섯 가지는 그리스도인에게나 비그리스도에게나 모두 동일하게 영향을 끼친다. 그리스도인이라고 해서 5가지 물질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아니 그리스도인이기 때문에 이것들을 대하는 태도에서 정체성이 드러난다. 개인의 탐욕의 수단으로 여긴다면 그리스도인으로서의 구별성이 없는 것나 다를 바가 없다. 그렇다면 그리스도인으로 이것들을 어떻게 여기며 사용해야 할까? 

 

소비 VS 나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누가 얼마나 소비를 많이 하느냐에 따라 계층이 구분되어 진다. 더 많이 소유하고 소비해야 상위계층이다. 반면 빈곤과 기아에 시달리며 최소한의 소비조차 할 수 없는 이들이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자본이 신이 되어 돈으로 할 수 없는 일이 없는 세상이 되어 버린 시대에 그리스도인의 올바른 소비관은 어때야 할까? 돈은 소비를 위한 도구가 아니라 나눔을 위한 도구가 되어야 한다. 수입의 목적은 개인의 유익이 아니라 공동체를 세워가는 것이 되어야 한다. 소비를 위한 투기, 탐욕과 자기 과시를 위한 저축은 돈의 본질을 왜곡하는 것이 된다. 세상 속에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의 구별된 물질관이다. 

 

소비 VS 분배

 

가정형농업과 산업형 농업의 차이점은 잉여 생산물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달려 있다. 가정형 농업은 주어진 땅에서 먹고살만큼 경쟁할 이유 없이 환경을 훼손하지 않은 상태에서 먹거리를 생산한다. 반면 산업형 농업은 이윤이 목적이기에 잉여 농산물이 생기더라도 분배를 염두해 두지 않는다. 잉여물을 남겨 이웃과 함께 살아가는 것이 기독교의 정신일진대 현대 사회의 산업형 농업은 철저히 개인 이기주의로 무장되어 있다. 그리스도인은 음식의 원천이 곧 하나님으로부터 나온 것임을 알고 자족하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이웃과 나누는 삶을 살아야 한다. 

 

책임감 있는 자기 관리

 

성경에서는 몸에 만큼은 철저하게 대조한다. 육체의 일이냐, 성령의 열매냐로. 책임감 있는 그리스도인이라면 건강한 영성을 지닌 사람이라면 당연히 개인의 영역을 넘어 공동의 영역에 우리의 몸을 사용할 수 있도록 권면한다. 연약한 지체가 있다면 그들을 위해 당여히 몸으로 섬겨야 한다. 노화와 죽음에 대한 생각도 대조된다. 억지로 젊음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은 결국 부활의 기대를 감소시키는 일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인간은 불멸의 존재가 아니다.

 

안식은 저항이다!

 

1년 365일 24시간 내내 온라인에 연결되어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안식은 정면으로 도전하는 행위다. 앞으로 어떨께 될 지 모르는 세상 속에서 안식을 누린다는 것은 멍청하기 짝이 없는 행위로 보여질 수 있다. 정신없이 살아가는 우리 사회에 느리게 살아가려는 안식은 자기 이익을 위해 불철주야 달음박질하는 사람들에 비해 뒤쳐질 수 있는 위험 요소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의 삶은 속도의 문제가 아니라 방향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에 달려있다

 

이웃과 함께 거주하는 삶

 

이웃과 함께 더불어 사는 삶은 경쟁하는 삶이 아니다. 나눔이 있는 삶이다. 공익을 위해 기꺼이 나누는 삶이다.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사는 삶이다. 나만의 경계를 짓고 침범하는 이웃들을 고발하는 삶이 아니라 우리의 공간을 내주고 함께 가는 삶이다. 땅의 소유주는 마지막 거주자가 아니라 앞으로 살아갈 사람들과 연결되어 어 있고 과거의 살았던 사람들의 흔적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이다. 장소는 성취가 아니라 선물이다!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기에 내 것이라고 주장할 수 없다

 

끝으로 저자는 성숙한 물질성(시민성)을 드러내는 돈과 음식, 몸과 시간, 장소를 이웃에게 공의와 정의로, 은총과 긍휼, 진실로 실천하는 일이 완전한 풍요에 이르는 길이라고 강조한다. 

 

<이창수의 독서 향기> https://www.youtube.com/watch?v=MlxeVb-MYtk&t=442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