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대기를 찾습니다 사계절 아동문고 102
이금이 지음, 김정은 그림 / 사계절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분은 이름 때문에 고생한 적이 없으신가요?

 

차.대.기. 크게 기대할 만한 사람이 되라고 할머니께서 지어주신 이름. 차.대.기.

작품 속 주인공 차대기는 이름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차대기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물건을 담는 '자루'의 사투리라고 합니다. 그래서 차대기는 아주 큰 충격을 받습니다. 그 이유는 이렇습니다.^^

 

혹시 독자분들은 학창 시절 바지에 똥을 싸 본 적이 있나요?

 

속옷에 오줌을 싸 본 적이 있는 분들은 계실 것입니다. 옛날에는 오줌 싸는 버릇을 고쳐 준다며 머리에 키를 쓰고 소금이 담긴 바가지를 들고 동네방네 돌아다니게 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물론 아주 옛날 풍경입니다. 차대기는 초등학교 1학년 때 그만 교실에서 바지에다가 똥을 싸 버립니다. 짝꿍이었던 여자 아이는 냄새 난다고 코를 쥐고 인상을 찌푸립니다. 담임 선생님에 의해 똥 싼 사건은 교통정리가 되었지만 그때 생긴 별명 '똥자루'는 초등학교 5학년이 되고서도 아직도 몇 몇 친구들 사이에서 회자되고 있습니다. 사춘기에 접어든 차대기는 자신의 별명이 학급에서 불리워질까봐 노심초사합니다. 왜냐면, 좋아하는 아이가 생겼기때문이죠. 차대기만 이름 때문에 고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같은 반 친구 변상우는 변씨이기에 때문에 똥상우로 놀림받습니다. 그러저나 차대기는 또래 친구들보다 키가 작기 때문에 '자루'라는 별명이 신체적 특성을 나타내주는 말과 동의어로 사용되기에 늘상 신경 쓰입니다. 담임선생님도 이름 가지고 놀리지 말라고는 하지만 아이들의 장난은 잊을만하면 쑥쑥 불거집니다.

 

부끄러운 고백이지만 저도 차대기와 비슷한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바지에 똥을 싸면 느낌이 장난이 아닙니다. 똥을 싸 본 사람만이 알 수 있습니다. 더 놀라운 일은 뒤처리를 제때하지 않고 걸어다니면 바지가랑이 사이로 분비물이 떨어집니다. 아주 옛날 이야기이지만 그때 그 장면은 생생히 떠오릅니다. 작품 속 차대기의 심정, 십분 공감합니다^^

 

작품 속 주인공 차대기가 좋아하는 여자 친구가 있습니다. 윤서입니다. 보기만 해도 얼굴이 빨개질 정도로 좋아합니다. 윤서에게도 말 못할 아픔이 있습니다. 이혼 가정입니다. 누구에게도 말 못할 사연을 가진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서는 길고양이를 거둬다가 잘 키웁니다. 버려진 동물에 대한 사랑을 듬뿍 담아 길러냅니다. 키가 작고 이름 때문에 무척 스트레스를 받는 차대기 그리고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지만 가정적 아픔을 가지고 있는 윤서. 이 두 아이의 모습은 곧 우리 주변의 아이들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아이들도 어른만큼 관계 때문에 웃고 울며 지냅니다. 어리다고 마냥 해맑고 걱정 근심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마세요. 초등학교 아이들도 알만큼 다 압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