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의 학교 사계절 중학년문고 37
김혜진 지음, 윤지 그림 / 사계절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에게 학교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학교에게 아이들이 필요한 것"

 

맨날 학교가 똑같은 수업만 한다면 아이들에게는 어떨까? 생각만 하더라도 숨통이 막혀 온다. 수업에 집중하지 않는다고 아이들에게 뭐라고 할 게 아니다. 학생들이 호기심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일은 선생님의 몫이다. 출산율이 바닥을 치고 있다. 얼마 안 있으면 학교가 문 닫을 지경이다. 학생 수가 많이 줄어들어 있던 학교도 없어질 판이다. 아이들에게 학교가 필요한 시기가 있었다면 이제는 학교에게 아이들이 필요한 시기가 도래하고 있다. 한 명 한 명의 아이들이 귀하다는 얘기다. <일주일의 학교>는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즐겁게 재미나다. 

 

고정 관념을 깰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맨날 한 학교만 다닐 필요가 있을까? 너무 위험한 생각인가? 하루는 이쪽 학교, 하루는 저쪽 학교. 학생들이 선택해서 다닌다면? 그렇다면 학교가 긴장할 게 뻔하다. 학생들을 찾아오게 하려면 그 학교만의 특징이 분명해야 되니까. <일주일의 학교>는 요일별로 학생들이 다니는 학교가 다르다. 월요일은 비만 오는 학교, 화요일은 체육관처럼 생긴 학교, 수요일은 열쇠로 열어야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는 학교, 목요일은 밤에만 가는 학교, 금요일은 뭐든지 뚝딱뚝딱 만들어야 하는 학교. 그리고 저자는 숙제를 던진다. 그럼.. 내일의 학교는?

 

학교에 대해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동시에 나에게 이렇게 적용해 보게 된다. 

'교사에게 교감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교감에게 교사들이 필요한 것' 

교사들이 없으면 교감은 필요없는 존재다. 물론 학교 자체가 없으면 교감은 더더욱 필요 없는 존재가 되고 만다. 교사에게 교감이 필요한 것을 넘어 교감에게 교사들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면 매일 매일 만나는 선생님들 한 분 한 분이 소중할 것이며 교감이 혼자 독단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협치로, 협업으로 가려고 하지 않을까 싶다. 교감에게 교사들이 필요하다! 함께 걸어가는 동역자다!

 

<일주일의 학교>에서 학생들은 불평하지 않는다. 비가 와서 장화를 신어야 하고 추적추적 축축하게 지내야 하지만 비만 오는 학교에서만 누릴 수 있는 것이 있기에 아이들의 표정이 살아 있다. 어른들이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는 바람에 비구름이 막히는 사태가 일어난다. 비만 오는 학교에 비가 오지 않자 모두가 해결하기 위해 힘을 모은다. 해결사는 어른이 아니라 아이들이었다. 아이들이 생각해낸 작은 아이디어에서 막혔던 비가 다시 내리게 되었다. 어리다고 깔봐서는 안 되는 일이다. 화요일에 가는 학교는 힘들지만 교문부터 타 넘고 가야 하고 수학 문제도 구르기를 해야 하는 학교지만 몸을 신나게 움직일 수 있기에 매력 만점인 학교다. 수요일의 학교는 수수께끼 학교다. 자물쇠에 맞는 열쇠를 열어야 점심도 먹을 수 있다. 뭐든 자기 스스로 할 수 밖에 없는 학교다. 목요일의 학교는 하품이 나오지만 밤에 가야 하는 학교다. 어둠은 아이들의 흔적을 먹기 위해 찾아온다. 밤은 두려운 존재가 아니라 학생들이 반기는 존재다. 금요일의 학교는 책상부터 교실까지 아이들이 생각한대로 만들어내야 하는 학교다. <일주일의 학교>도 당장은 신선해 보이고 매력적으로 보이지만 자꾸 반복되어지면 식상해 진다. 내일의 학교를 제안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코로나로 인해 현장체험학습이 축소 운영되고 있다. 어려운 가운데에서도 용기내어 다녀온 적이 있었다. 학생들이 스스로 코너를 찾아가 실습하고 활동에 참여하는 모습들이 활기차 보였다. 돌아오는 버스 안에서 코를 드르렁 골 정도로 열심히 체험에 참여했다. 익숙한 장소를 떠나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활동을 한다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에게는 설레임이자 새로운 기회였던것 같다. 속히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잠들어버렸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