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블렌디드, 어디까지 해봤니?
한난희.이정석 지음 / 에듀니티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가 소환되었다. 펜데믹으로 기존의 수업 형태가 180도 달라졌다. 원격 기반의 실시간 쌍방향 수업은 작년과 달리 1년이 지난 올해 혼돈에서 질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고 등교 수업과 병행하여 블렌디드 수업으로 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전주교육대학교 박상준 교수는 <코로나 이후 미래교육>에서 블렌디드 수업의 정의를 아래와 같이 하고 있다.

 

미래 교육의 대안으로 활용될 블렌디드 러닝의 정석은 교사 주도의 수업 구조에서 학생 주도의 수업 구조로, 학생이 온라인으로 자신의 학습 능력과 속도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학습하고, 교실 수업에서는 학생이 주도하는 토론학습, 탐구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 다양한 수업 방법을 활용한 형태로 전개하는 것이다! 다만, 두 가지 수업 방법을 혼합했다고 해서 모두가 블렌디드 러닝이라고 할 수 없다고 말한다. 교실 수업에서 컴퓨터나 인터넷을 활용한다고 블렌디드 러닝이 아니다. 교사가 인터넷을 통해 수업 자료와 과제물을 제공한다고 해서도 블렌디드 러닝이 아니다. 교실 수업의 내용과 통합되어 수업이 이루어질 수 없는 인터넷 강의 또한 블렌디드 러닝이 아니다.

 

<초등 블레디드, 어디까지 해봤니?>의 공동 저자 한난희, 이정석 교사는 불가피해진 원격수업에서 핵심 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대안으로 블렌디드 수업을 강조하고 있다. 블렌디드 수업을 위해 원격 기반의 플랫폼을 학년 협의에 의해 선택했다. 클래스팅, 줌, 구글 클래스룸, 구글 미트를 학생, 학부모에게 사전에 안내하며 블랜디드 수업을 위한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블렌디드 수업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자기 주도 학습 환경을 구축해 주는 일이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장점과 반대로 자기 주도 학습 환경이 구축되지 않았을 경우 학생의 참여를 끌어내기가 쉽지 않다. 학생들이 자기 주도성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방법을 계획하는 일이 무척 중요하다. 저자가 활용한 자기 주도적 학습 동기를 부여한 방법은 패들렛을 활용한 학습 계획 공유하기, 매일 배움 일지를 작성하여 교사와 학생 모두 서로 격려하고 학습에 참여하는 분위기를 만들어갔다. 블렌디드의 유형에도 과제 수행 중심+실시간 쌍방향, 콘텐츠 활용 중심+실시간 쌍방향 등 복합적으로 활용한 사례들도 구체적으로 안내해 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