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틸 스탠딩
래리 호건 지음, 안진환 옮김 / 봄이아트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상 투명하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밝히고, 정확한 사실을 알리면 사람들은 어떤 고난이 닥쳐도 믿고 지원한다

 

주지사에 취임한 뒤 5개월만에 공격적인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 3기라는 진단을 받고 기자회견을 만류하는 비서진에게 래리 호건이 한 말이다.

 

그렇다. 숨김없이 낱낱히 알려야 한다. 나머지는 시민들이 판단한다.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항상 투명하게 진실되게 알려야 한다. 그게 최선의 일이다. 지금 당장 곤혹스럽더라도 훗날 뒤돌아보면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전 세계가 팬데믹 상황 속 K-방역이 호평을 받은 이유도 래리 호건 주지사의 철학과 일맥상통한다. 전 국민에게 확진자수를 숨김 없이 밝히면 나머지는 국민들이 알아서 한다. 판단은 국민에게 맡기고 정치적 지도자는 여러가지 정치적 셈법으로 머리를 굴릴 것이 아니라 소상히 투명하게 밝히는 일이 가장 최선의 일임을 알게 된다. 

 

인구 600만명의 메릴랜드주. 1951년 시어도어 루스벨트 맥켈딘이 공화당 출신으로 주지사에 당선된 이후 63년 만에 공화당 출신 주지사로 당선된 래리 호건. 전통적으로 민주당 텃밭인 메릴랜드주에서 래리 호건이 당선된 것은 미국에서 가장 큰 정치적 이변으로 기록되었다. 2014년 주지사 선거 당시 매릴랜드주지사 민주당 후보는 막강한 지원 세력을 받는다. 버락 오바마, 미셸 오바마, 빌 클린턴, 힐러리 클린턴 부부가 동시에 지원 유세를 할 정도로 메릴랜드주는 민주당 입장에서는 포기해서도 안 되는 지역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명의 래리 호건이 모두의 예상을 깨고 당선된다. 우리나라로 예로 든다면 전라남도 광주광역시장에 보수측 후보가 당선된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래리 호건이 공화당 후보로 63년만에 주지사에 당선될 수 있었던 이유는 그의 선거 전략이 적중했기 때문이다. 당시 메릴랜드주의 전반적인 경제 성과는 50개 주 가운데 49위. 세금과 각종 수수료, 통행료로 인해 사람들의 불만이 최고조에 있었다. 주민 대다수가 이름도 들어본 적 없는 사람을 선거로 당선 시킨 이유는 래리 호건의 당선 수락 연설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여러분이 어떤 당의 지지자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누구에게 투표했는지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내일부터 우리가 함께 힘을 모아 우리의 위대한 메릴랜드를 되살리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정치적 중도를 표방하며 민주당원과 무당파를 끌어들였으며 훌륭한 메시지, 초당파적 풀뿌리조직, 민첩한 직원, 활기찬 자원봉사자 조직, 부족한 선거 자금을 다량의 땀으로 극복한 래리 호건은 62대 주지사로 당선되었고, 놀라운 일은 2019년 재선을 했을 뿐만 아니라 2024년 미국 대선 후보로 강력히 부상되고 있다는 점이다.

 

주지사 당선 후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의 만남에서 당시 문대통령은 래리 호건에게 당신은 한국 국민의 사위라고 칭찬했으며 한인 최초의 주지사 영부인이된 유미를 자랑스러워했다고 한다. 사실, 래리 호건이 주지사가 되기까지 영부인 김유미의 내조가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래리 호건의 말이다. 교회 집사인 아내는 늘 기도를 믿고 의지했다. "하나님께서 우리가 이겨내도록 도와주실거예요. 당신은 죽지 않아요. 당신은 더 좋아질거예요. 하나님은 당신을 위한 계획을 갖고 계시거든요" 

 

우파와 좌파, 보수와 진보의 싸움이 아닌 옳고 그름의 싸움으로 본 래리 호건은 같은 공화당 출신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조차 견제를 받을 정도로 소신 있는 정치를 한 것으로 유명하다. 

 

"나는 내 인생의 가장 큰 실패가 나머지 인생을 정의하도록 놔두지 않기로 결심했다. 개인적으로 다시 한번 약자의 입장에서 싸움을 벌여야하는 도전입니다. " 그의 명연설이 시사해 주는 점이 있다. 정치적 대립이 어느 때보다도 날카롭게 서 있는 대한민국 정치 지형 속에 래리 호건과 같은 철학을 지닌 정치인들이 많아지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