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웨이즈 데이 원 - 2030년을 제패할 기업의 승자 코드, 언제나 첫날
알렉스 칸트로위츠 지음, 박세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사의 연 매출액이 국가와 맞먹는 기업이 있다.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기업. 알만한 이들은 모두 알고 있는 기업이다.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애플, 마이크로스프트사.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이라기보다 세계를 대표하는 덩치 큰 기업이다. 이 기업의 공통점은 온라인 기반 즉 웹고 앱을 기반으로 무서울 정도로 치고 올라가고 있다. 앞으로 미래 사회를 좌지우지하는 영향력을 가진 기업들이다. 과거에는 기업의 흥망성쇄 주기가 50여년이었다면 이제는 10여년 주기로 흥하던 기업도 쇠하고, 보잘 것 없던 스타트업 기업이 매머드급 기업으로 성장한다. 현재 세계 최고라 자부하는 기업들도 현실에 안주할 수 없는 이유다. 아마존의 모토이자 세계 선두를 놓치지 않는 기업의 모토라 할 수 있는 Always Day One! 첫날은 승리다! 둘째 날은 죽음이다! 그들이 정상을 지켜가기 위한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아마존의 베조스 리더십의 원칙은 '발명'이다. 프리젠테이션 대신 여섯쪽 짜리 친필 메모를 고집하는 이유도 '발명' 을 우선하기 때문이다. 아이디어는 현란한 화면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손으로 끄적거리는 메모에서 구현된다는 착상을 통해 아마존의 리더들은 새로운 발명을 위해 지금도 최고 회의에서는 메모지를 들고 발표를 한다고 한다. 2만가지 이상의 물품을 취급하기 위해 로봇 자동화 시스템을 확대하는 이유도 남는 시간을 오직 '발명' 에 몰두하라는 메세지다발명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선택과 집중인 셈이다. 

 

말도 많았고 탈도 많았던 페이스북의 저커버그 리더십의 원칙은 '피드백' 이다. 모든 사람의 아이디어에 귀 기울이기 위해서 내부의 피드백을 최우선으로 한다. 묻고, 듣고, 배워라! 직원들의 어설픈 아이디어에도 마음을 열어 놓고 있다. 자발적으로 토론을 제안하고, 토론에 참여케 한다. 불편한 진실도 피하지 않는다. 오히려 비판을 하라고 종용한다. 페이스북을 재앙으로부터 구해낸 것도 '피드백' 문화가 살아 있었기에 가능했다. 

 

지구상 가장 협력적인 조직인 구글 모든 업무를 구글 드라이브 안에서 처리한다. 브라우저 크롬, 음성 지원 서비스, 모바일 운영 안드로이드 검색 등은 조직 내 모두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문화였기에 가능할 수 있었다. 최고 리더조차도 한 발 물러서서 집단지성을 발휘하도록 하였으며, 지시를 내리기보다 상향식 혁신을 추구한다. 구글이 앞으로도 경쟁력이 있는 것도 협력적인 문화를 최고의 가치로 여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과 달리 애플과 마이크로스프트는 약간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애플은 아이폰으로 급성장한 기업이다. 고 스티븐 잡스의 흔적이 아직도 남아 있을 정도로 디자인을 최고의 우선순위로 여긴다. 장점이 단점이 될 수 있는 것은, 애플의 자율주행전기차 사업이 속도가 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기술보다는 디자인을 우선으로 여기는 기업 문화 때문에. 과거 애플을 성장하게 했던 보안과 하향식 계획 수립이 장애가 될 수 있음을 충고하고 있다. 

 

마이크로스프트도 마찬가지다. 지금은 CEO가 교체 되었지만 과거 CEO는 관료주의에 빠져 있었다고 한다. 윈도우에 집착하며 자유로운 아이디어가 방해 받았다. 창조성을 죽이는 위계질서가 팽배했다. 새로운 리더십으로 바뀐 지금은 옛 영화를 다시 찾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위에서 5개의 기업의 장단점을 살펴 보았다. 모바일 기반의 새로운 분위기에서 기업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 기업의 문화를 바꾸고 있다. 위계 질서를 타파하고 상향식 혁신과 자유로운 의시결정 구조로 자체적인 필요에 의해서 변화되고 있다. 변화를 거부하다보면 강력한 저항에 부딪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