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가 잘못됐습니다 2 : 실천편 - 최신 의학이 검증한 진짜 건강한 식사법 70 식사가 잘못됐습니다
마키타 젠지 지음, 문혜원 옮김, 강재헌 감수 / 더난출판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먹는 식품의 영양 정보가 과연 신뢰성을 담보하고 있을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음식에 관련된 영양 상식이 정말로 정확한 사실일까?

만병의 근원인 비만이 주된 원인이 무엇일까?

 

저자는 사람들 대부분이 철이 지난 옛 과거의 이론에 의존하고 있다고 말한다. 아니면 어느 유명한 학자가 쓴 논문을 통째로 읽어보기보다 초록한 부분만 읽고 마치 정확하게 다 아는 것처럼 말하는 부정확한 지식을 의심없이 받아들이고 있다고 충고한다. 예나 지금이나 식품 기업은 영리를 목적으로 소비자들을 현혹시킨다. 소비자들은 정보의 비대칭으로 누가 뭐에 좋다고 하면 마치 그런 것처럼 쏙 넘어가 버린다. 저자는 생화학을 전공한 학자다. 영양 관련 논문도 생화학을 근거로 작성했고, 소위 시중에 떠도는 논문들도 생화확에 근거하여 진위를 분별한다. 자고로 항간에 떠도는 왠만한 영양 관련 상식들은 모두 '거짓'에 가깝다고 일침을 가한다. 

 

그렇다면, 저자가 말하는 올바른 식단 구성을 무엇일까? 비만을 줄이고 암을 예방하기 위한 음식 섭취법은 무엇일까?

 

한마디로 정리하면, 탄수화물을 최대한 줄이고 지방과 단백질, 비타민과 무기질을 신선한 재료로 섭취하라!

 

그 이유는, 인류의 기원은 수렵을 하거나 채집을 통해 음식물을 섭취했고 탄수화물을 섭취하게 된 것은 불과 농업 혁명 이후였다고 한다. 오랜 시간 동안 인류는 야생 동물을 잡아 먹었고, 특히 멧돼지를 포함한 동물들의 섭취 부위 제1순위는 내장, 장기 였다고 한다. 지금도 야생 세계에서 사자들이 제일 먼저 먹는 부위는 창자다. 그러나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부터 쌀, 밀가루를 위주로 탄수화물을 체내에 흡입하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피자, 햄버거 등 가공식품까지 섭취하면서 만성적으로 탄수화물을 과도하게 섭취하고 있는 상황이다.

 

탄수화물 섭취가 위험한 이유가 무엇일까? 

 

"우리가 입을 통해 먹는 것은 모두 소화 흡수 과정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바뀐다" 즉, 대사작용을 통해 탄수화물이 당질로 바뀌는데 가장 큰 문제점이 있다. 현대인의 비만은 지방이 아니라 당질 과다 섭취에 원인이 있다.

체내에 있는 다양한 물질의 합성, 분해, 대사 메커니즘을 풀어내는 학문이 생화학이다. 생화학을 통해 저자는 탄수화물의 위험성을 과학적으로 밝혀내고 있다.  

 

저자가 꼬집는 잘못된 상식을 보면 우리 또한 고개가 갸웃거려진다. 건강만큼 소중한 것이 무엇이 있을까? 먹는 것만 잘 조절하고 절제하더라도 병원에 덜 가고 기대 수명을 건강하게 지낼 수 있을 것이다. <식사가 잘못 됐습니다>라는 책 제목처럼 식사만 제대로 하더라도 건강을 챙길 수 있으니 다시 한번 경각심을 갖고 생활해보면 어떨지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