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미워했던 나의 두 번째 엄마
전은수 지음 / 달꽃 / 2020년 12월
평점 :
일시품절


<몽골의 비는 좋은 인연을 데리고 온다>, <나 홀로 유럽 배낭여행 내가 걷는 자리마다 온통 바람이었다> 등 여행지를 다니면서 보고 듣고 경험한 바를 글로 적어가는 여행작가 전은수님의 세 번째 <안녕 미워했던 나의 두 번째 엄마>는 여든셋의 할머니와 스물다섯의 손녀가 머나먼 이국땅 캐나다 토론토를 다녀온 여행기이며 온갖 에피소드 끝에 다녀온 여행의 여운이 가실 쯤 또 다시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로 여행을 다녀온다. 놀라운 사실은 두 분의 고모분도 함께 동행한다.


여행작가 전은수님에게는 커다란 상실의 경험이 있다. 어머님의 죽음. 어머니가 없는 자리는 남겨진 아빠와 남매에게 메울 수 없는 품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상의 삶을 살아가야 했고 상처를 잊기 위해 더욱 일상에 집중해야만 했다. 그리고 두 번째 엄마를 만났다. 새엄마가 아닌. 아빠의 엄마. 할머니 말이다. 작가의 두 번째 엄마인 할머니는 일생은 결코 많이 남아 있지 않았다. 생각이 다르고 살아온 결이 다른 할머니와 국내여행이 아닌 지구 반대편 캐나다로 여행을 다녀온다는 것은 보통 결심이 아니면 실천할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마지막 여생에 의미있는 무언가를 선물해 드리고자 무작정 용기를 내어 다녀온다.


"여행은 결국 익숙한 일상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이다. 낯선 것들은 여행 속에서 다시 곧 일상이 된다."


사랑하는 엄마를 잃고 맞이한 하루하루가 낯선 것들이었다. 경험한 상실이 트라우마로 오랫동안 남을 수 밖에 없다. 세상에 나 홀로 던져진 것 같은 기분말이다. 어떻든 자신의 인생을 가득 끌어안고 지금껏 살아온 사람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박수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화려하지 않더라도 말이다.


나는 종종 할머니가 짊어진 세월을 본다"


낯선 여행지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이다. 익숙한 곳에서는 불평하고 짜증내고 원망하던 것들이 새로운 여행지에서는 새롭게 눈을 뜬다. 할머니가 살아낸 세월을 보게 된다. 주름 패인 이마에서, 쭈글한 손마디에서, 구부정한 허리에서 무거운 세월을 느낀다. 여행이 주는 선물이다.


상실은 익숙했던 세상의 붕괴를 의미한다. 그래서 그런가. 저자는 익숙했던 것들을 스스로 차 버리고자 이곳저곳 익숙하지 않은 곳으로 찾아나선다.


"우리는 모든 사랑하는 것과 언젠가 반드시 헤어지고 만다"


여행자는 관광객이 아니라 방문자가 되어야 한다. 서로를 깊이 존중하고 배우며, 공동체와 지역을 알아가는 만남이 여행이다. 관광객은 단지 즐기고 보고 맛보고 스쳐 지나가는 사람이지만 방문자는 예의를 갖추어 자신이 방문하는 지역의 사람들과 문화를 알아가기 위해 떠나는 사람을 말한다. 우리는 여행에서 함께 동행하는 모든 사람을 사랑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여행지에서 만나는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보아야 한다. 코로나19가 종식되면 사랑하는 사람들과 여행을 떠날 기대를 품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