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중국해, 힘과 힘이 맞서다 - 교역의 중심, 동·남중국해를 둘러싼 패권 전쟁 메디치 WEA 총서 10
마이클 타이 지음, 한승동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관계성을 가진다. 임진왜란만 보더라도 역사란 소수의 몇 개 국가만 연관된 것이 아니라 시야를 넓혀보면 한중일을 넘어 베트남과 캄보디아, 필리핀과 말레이반도까지 관계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무슨 말인가. 조선을 침략한 일본은 내부 사정도 있겠지만 결국은 중국을 침략하기 위한 발판으로 조선을 삼은 것이다. 당시 중국은 명나라였다. 안방까지 다다른 일본군을 보고만 있을 수 없었던터라 수 많은 병력을 조선으로 급파한다. 군인을 파병한다는 것은 병참이 함께 뒤따르는 법.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수 많은 군대를 파병한 명나라는 급격히 국가의 힘이 쇄락해 버린다. 쇄락해진 명나라의 어지러운 상황을 틈타 실질적인 지배를 당하고 있었던 베트남(안남)은 배반(?)을 시도하며 독립 왕조를 이뤄내며 그 힘을 바탕으로 캄보디아를 침략한다. 이것만 보더라도역사는 서로 간의 관계에 의해 형성된다고 봐야 할 것 같다. 

 

우리는 상대적으로 이웃나라인 중국이나 일본의 역사에 대해 약간이라도 들어왔고 공부한 적이 있다. 하지만 조금 아래쪽으로 눈을 돌려보면 류큐국(현재 오키나와현),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동남중국해에 걸쳐 있는 동남아시아 국가의 역사에 대해서는 생소하거나 아예 들어본적도 없는 경우가 태반이다.  우리나라와 밀접적으로 관계된 동아시아 역사 정도만 취급해 왔던 것이 우리 학교의 현실이다. 미국 또는 유럽에 관해서는 세세한 역사까지 관심을 가지려하는 정성과는 정반대로 동남아시아 역사는 비중면에서 아예 거들떠보려고 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저자는 중국을 중심에 두고 중국과 관계한 동남아시아의 역사에 대해 조목조목 역사적 문헌과 자료를 찾아내어 독자들에게 새로운 사실들을 전수해 주고 있다. 중국계 영국인이기는 하지만 사실 모른척 하면 그만일텐데 변방의 역사라고 하는 동남아시아 역사에 대해 집요하게 공부한 열심은 태평양 시대를 열어가야 하는 우리들을 부끄럽게 만든다. 하지만, 거인의 어깨에 올라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다면 얼마나 다행인가. <동남중국해, 힘과 힘이 맞서다> 책을 바탕으로 늦은 감은 있지만 지금이라도 한쪽으로 쏠렸던 우리의 시야를 넓혀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자는 중국 국제관계사를 이야기하면서 중국 대륙을 감싸고 있는 동남중국해에 시선을 모으고 있다. 사실, 동남중국해에는 무인도를 포함하여 자그만한 섬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다. 힘의 균형이 팽팽할 때에는 어느 누구도 넘보지 않았던 섬들을 시대별로 강력한 힘을 소유한 국가가 지배했을 때면 어김없이 작은 섬일지라도 조금의 양보도 허락하지 않았다. 가령 일본이 중국을 침략한 중일전쟁 직후에는 승전국가의 이점을 등에 업고 시모노세키조약을 밀어 부쳤다. 결국 타이완을 비롯하여 왠만한 섬들의 실질적인 지배권을 장악했다. 반면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로 패전국가가 되어 샌프란시스코 조약에 의해 몇 개의 일본 본토 섬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권리를 박탈 당했던 당시에는 다시 섬들의 실효 지배권은 원래의 주인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물론 원래의 주인이라는 것도 국제 관계사, 국제 해양법에 따르면 여러 다른 이견들이 있을 수 있겠다. 

 

<동남중국해, 힘과 힘이 맞서다>를 읽고 얻을 수 있는 유익한 점은 베트남 역사, 필리핀 역사, 말레이 역사, 싱가포르 역사를 덤으로 익힐 수 있다는 점이다. 서두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저자가 중국계이다보니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지금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화교를 빼놓지 않고 중심에 두고 있다.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 싱가포르 어느 국가에서든 중국 본토가 고향인 화교들은 끈질긴 생명력으로 낯선 이국땅에서 살아남아 경제권을 쥐게 되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 흩어져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유대인처럼. 필리핀 같은 경우 원주민 보다 중국 화교와 필리핀 원주민이 결혼하여 낳은 혼혈인들이 주축을 이룬 필리피노들이 현재 대다수를 구성하고 있으며 오랜 세월동안 스페인과 미국의 폭력적인 지배를 경험한 터라 이제는 독자적인 노선을 걷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추세라고 말한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는 중국 화교들이 세운 국가라고 착각할 정도로 화교들의 영향력이 가장 큰 나라들 중의 하나다. 화교들은 정착 초기에는 괜한 오해를 피하기 위해 정치와는 동떨어진 행보를 걸었지만 잦은 외국 지배 세력의 교체로 인한 경제적 피해, 심지어 대규모 학살 피해를 당하면서 스스로의 자구책의 일환으로 이주해 온 곳에서 정치적 공동체를 형성하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하다. 

 

<동남중국해, 힘과 힘이 맞서다> 는 동남아시아의 역사를 포괄적으로 배울 수 있는 보기드문 책 중의 하나라고 본다. 우리나라도 예전과 달리 주변 강대국과의 관계를 넘어 경제적인 이익을 위해 동남아시아 국가와 광폭 행보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정치건 비즈니스건 다른 국가를 알아가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역사를 공부하는것만큼 좋은 것이 없다고 본다. 한 국가의 역사에는 저변에 깔린 쉽게 변화지 않는 민족적 정서가 내재되어 있다. 사람의 마음을 얻는 방법 중의 하나는 그 나라의 언어 뿐만 아니라 언어를 이루고 있는 역사를 깊이 이해하고 공부하려는 진심어린 마음을 보여줄 때라고 본다. 경제적 이용가치만 따질 것이 아니라 우리와의 지리적으로 약간 멀더라도 역사를 이해하다보면 일맥상통하는 부분을 찾아낼 수 있으며 동시대를 살아갔던 사람들의 애환을 함께 공유할 수도 있다. 어렵게 여겨지는 동남아시아 역사도 관련 도서들을 여러 권 독파하다보면 익숙해 질 때가 곧 오리라 생각된다. 포기하지 않고 도전해 보았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