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인도에서 아난다라고 불렸다
정인근.홍승희 지음 / 봄름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처로 가득한 두 모녀가 인도 다람살라로 10일 여행을 다녀오면서 쓴 일기를 모은 책이다. 여행 날짜별로 엄마가 쓴 일기, 딸이 쓴 일기를 순서대로 엮어냈다. 평범한 책이다. 여행기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보통 책과 다른 점은 책의 주인공인 두 모녀 모두 평범하지 않은 삶을 살고 있고 상처가 깊어 곪아가던 중에 인도로 여행을 다녀와서 '자신'을 찾아가는 법을 알아간다는 얘기다. 한국에서 여자로 살기란 결코 녹록치 않다. 누구의 엄마로 살아야 하고 누구의 아내로 살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힘든 삶을 살아내야 한다. 가족들이 엄마의 수고를 알고 감사해 하고 알아준다면 모를까 으레 당연한 것으로 엄마의 노동을 생각한다면 상처는 켜켜히 쌓여 터지기 일보 직전까지 갈 것이다. 주인공 정인근씨도 마찬가지다. 아픔과 상처로 얼룩진 삶을 살아오면서 그 누구에게도 위로를 받지 못한 체 살아 왔다. 감사한 것은 성에 차지는 않지만 엄마를 여자로 보며 알아주는 딸이 있기에 다시 일어날 힘을 얻는다. 

 

엄마와 딸의 여행. 특별한 것을 하지 않더라도 함께 하는 것만으로도 서로에게 위로와 격려가 될 것 같다. 엄마에게는 아들보다 딸이라고 흔히들 이야기하는 이유를 알 것 같다. 여행 중에도 서로 말다툼과 생각의 다름으로 속상해 하지만 자고 일어나면 언제 그랬냐는 식으로 일상의 삶으로 돌아온다. 일상의 소소한 삶에서 행복을 찾아가는 모녀의 아주 흔한(?) 여행기를 살짝 들여다 보시길 바란다. 

 

인도의 북쪽 지역 다람살라에는 수 많은 외국인들이 명상을 위해, 한적한 분위기를 경험하기 위해 찾아간다고 한다. 특히 중국으로부터 핍박받은 티베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다람살라는 자연과 사람들이 조화롭게 살아가야 한다는 진리를 깨닫게 해 주는 곳이라고 한다. 바쁜 일상에 쫓겨 살아가는 이들에게 쉼을 갖고 자신을 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하는 최적의 장소로 많은 이들이 추천하는곳이기도 하다. 책의 주인공들이 한국에서 다람살라까지 이동한 경로를 보면 저렴한 경비를 위해 경유하는 항공기를 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국에서 방콕, 방콕에서 델리, 델리에서 다람살라로. 모녀가 쓴 일기를 보면 다람살라에서도 한국인들이 장사를 하고 있다는 점을 볼 수 있다. 한국 사람들은 어느 곳에 가든 없는 곳이 없다라는 말이 실감이 날 정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