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보다 어려운 학부모를 말하다 - 새내기 교사들에게
심지연 외 지음 / 단비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 교육의 중심에 서 있는 이들을 가리켜 '교육의 3주체'라고 이야기한다. 교육의 3주체는 교사,학생,학부모다.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학생과 관련성이 깊은 존재라는 점이다. 교사는 제2의 부모이며, 부모는 제2의 교사이기도 하다. 학교는 제2의 가정이고, 가정은 제2의 학교이기도 하다. 그렇다. 학생을 중심으로 교사와 학부모가 존재한다. 학생이 없으면 교사의 존재 이유는 없다. 자녀(학생)가 없으면 당연히 학부모가 될 수 없다. 교사와 학부모는 어찌 보면 학생과 공생해야 하는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실상은 엄청 다르다. 오죽 했으면 책 제목이 <교육보다 어려운 학부모를 말하다> 였을까 생각해 본다. 

 

학교에서 교사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관계가 학생이 아니라 학부모라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가정에서 부모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관계가 자녀라는 점과 일맥상통한다. 그렇다면 왜 학생을 가운데 두고 협력해야 할 관계가 경쟁 관계가 되고 갈등관계가 될까? 이 책의 저자들은 지나온 교육 경험에서 터득한 돈 주고 살 수 없는 '진리'를 에둘러 이야기한다. 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는 서로 배워야 하는 관계라고. 교사도 학부모에 대해 배워야 하며, 학부모도 교사에 대해 배워야 한다고 강조한다. 서로 배움의 자세로 서 있지 않다면 신뢰 관계를 구축하기 무척 어렵다. 학생과 관련된 미묘한 사건에도 서로 으르렁 거리며 자존심 대결하는 관계로까지 확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90년생이 온다> 에서 90년생 출생들의 특징이 바로 조직보다 개인의 권리가 우선이고, 권위보다 수평을 선호한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현재 교단에 나와 있는 새내기 교사들이 <90년생이 온다>의 바로 그 90년생들이다. 학교라는 조직에 소속되기 보다는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그대로 가지고 와서 생활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 조직 문화에 순응하기보다 자신의 생각을 유감없이 표현하는 세대가 지금의 90년대생 새내기 교사다. 교사가 아니면 그냥 이웃집 아주머니로 스쳐 지나갈 수 있는 사람인데 학급의 담임 교사가 되어 학생들과 연결되다보니 스쳐 지나간 이웃집 아주머니가 '학부모'로 자신들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사람으로 다가온 것이다. 새내기 교사들에게는 가까이 하고 싶지 않은 사람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교사는 프로페셔날이 되어야 하기에 동년생 타직업에 근무하는 이들이 겪지 않아도 되지 일을 일상의 삶 속에서 접한다. 학부모와의 관계를 현실로 받아들이며 생활해야 한다. 하지만 당황스러운 일들이 생기면 어찌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어려운 문제들을 선경험한 선배 교사들이 새내기 교사의 고민거리를 <교육보다 어려운 학부모를 말하다>에서 자신의 경험담을 빗대어 지혜로운 교사 생활을 조언해 준다. 

 

대표 저자인 정은희 교감은 학부모와의 신뢰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진심으로 학생을 걱정하는 마음이 있는지? 스스로 돌아볼 것을 새내기 교사들에게 부탁한다. 불편한 학생의 이야기를 학부모에게 말할 때 먼저, 학부모와 신뢰로운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지 살펴본 뒤 감정 개입 없이 객관적으로 대화할 것을 조언한다. 

 

학생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학급 생활, 학교 생활은 어느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사건들이 곳곳에 생긴다. 학교폭력은 말할 것도 없다. 친구 관계, 안전, 재난에 준하는 비상사태, 학습, 생활 등등 말할 못할 일들이 다반사로 일어난다. 그래서 학교를 사회의 축소판이라고 말한다. 두렵다고 피하기보다 정면승부가 필요하다. 새내기 교사들이여, 배우자. 타고날 때부터 관계의 달인은 없다. 학부모와의 관계도 공부가 필요하다. 집어 들어 읽어보라. <교육보다 어려운 학부모를 말한다> 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