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 방어 - 우리 몸을 지키는 면역의 놀라운 비밀
맷 릭텔 지음, 홍경탁 옮김 / 북라이프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날의 검, 면역계!

 

양날의 검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듯이 우리 몸의 방어막 역할을 하는 면역 체계 또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잘 활용만 한다면 건강에 유익한 도구가 될 수 있겠지만 오용하거나 남용하게 될 경우 자신을 헤치는 적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한 책이다. 책 제목이 시사하듯 '우아한 방어' 라는 뜻도 이중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봐야 한다. 우리 몸을 헤치는 각종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세균들로 부터 방어를 잘 해낼 때 아프지 않고 삶을 지속해 갈 수 있지만 우아한 듯 보이나 결국은 자가면역 질환으로부터 생명을 빼앗길 수 있음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우아한 방어는 양날의 검과 같은 뜻을 내포하고 있다고 본다.

 

면역계 중에 '자가면역'의 특성을 띠는 경우가 있다. 아주 치명적인 놈이다. 면역계가 전체 방어 체계를 기만하여 질병이 성장하도록 돕기 때문이다. 자가면역은 자기 세포를 공격하는 질병이다. 먼저 우리 몸을 괴롭히는 녀석들을 살펴 보면 재미있다. 14세기 유럽 인구의 30퍼센트를 죽음에 이르게 한 흑사병은 박테리아로 생긴 질병의 유형이다. 대표적인 박테리아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파상풍균, 포도상구균, 매독스피로헤타 등이다.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몸살을 겪고 있다. 바이러스로 공격으로 생긴 질병의 유형이다. 대표적인 바이러스는 독감, 에볼라, 광견병, 천연두, HIV 등 이다. 아주 고약스러운 녀석들이다. 또 한 가지를 말하면 기생충이 있다. 말라리아원충이 대표적인 것이다.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 이 세가지의 공통점은 인간을 숙주로 삼고 인간을 죽이고 만다. 이들은 이동성을 가지고 있어 숙주를 옮겨 다닌다. 그리고 더 놀라운 점은 변이성 즉 가변적이라는 것이다. 또 다른 강력한 유형으로 변질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어떻게 우리 자신을 방어할 수 있을까?

 

면역계가 악성종양을 곧잘 보호한다. 암처럼. 평화유지군이 되어야할 면역계가 적과 동침하는 경우다. 나쁜 박테리아를 죽이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하지만 단점은 좋은 박테리아도 공격 대상이라는 점이다. 전염병의 치명적인 속성은 박테리아에서 일어난 몇 가지 돌연변이 때문이다. 사망자는 독감 자체를 이기지 못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면역계가 독감에 보인 반응 때문에 사망한다. 면역계가 온 힘을 다해 강력한 적으로 인지된 것을 저지하면 심한 염증이 뒤따른다. 바이러스는 세포 뒤에 숨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주 정교한 테스트를 통해서도 찾기 힘들다. 사막에서 바늘을 찾는 것만큼 어렵다고 한다. HIV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이다.

 

염증은 질병에 대한 몸의 반응이다. 염증은 곧 자기 자신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몸이 자신을 스스로 공격한다는 흔적이다. 자신의 몸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이라는 질병처럼. 류머티스성 관절염도 자가면역의 일종이라고 봐야 한다. 우아하게 방어하는 듯하나 결국 방어 체계가 자신을 공격하고 있는 셈이다. 우아한 방어는 수면 부족, 스트레스, 염증으로 나타난다. 증후군은 구체적으로 병을 유발하는 물질이 밝혀지지 않았을 때 붙여진다. 어떠한 증상의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의학적 상태를 말한다. 유전적으로 자가면역 질환에 걸리기 쉽다. 약을 많이 복용할수로고 면역계는 불균형 상태에 이른다. 자가면역 증상을 보인다. 자기 자신을 계속 공격하게 된다. 면역계의 질주를 막기 위해 브레이크를 찾아야 한다.

 

면역계의 질주를 막는 브레이크, 위생 가설!

 

면역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은 자기가 바닥에 떨어뜨린 음식을 먹는 것이다. 너무 깨끗하게 살려고 하지 않아야 면역계가 수많은 박테리아나 기생충, 기타 병원균에 노출되어 그들에게 대응할 수 있다. 위생 가설이다. 우리가 지나치게 청결에 집착한 나머지 면역계의 훈련과 활동을 막고 있다는 것이다. 향균성 비누, 표백제, 손 세정제가 면역계를 대신 하고 있다. 자가면역과 면역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수면, 스트레스, 내장, 위생을 들고 있다.

 

알레르기 비염은 귀족 질병이라고 한다. 이것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자가면역 질환에 속하기 때문이다. 면역계가 과도한 반응을 하고 있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형제 자매가 많을수록 알레르기가 있을 가능성은 낮다고 한다.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알레르기가 생길 위험이 많아진다고 한다. 자가면역이 모두 증가한다고 한다. 이 또한 위생 가설가 일치한다. 미생물이 풍부한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들이 알레르기에 강하다는 것은 면역계가 작용한다는 뜻이다. 지나친 청결, 항생제 사용은 면역계가 할 일을 빼앗는다. 결국 자가면역이 되어 자기 몸을 스스로 공격하게 만든다. 기후변화보다 훨씬 직접적인 타격이 될 수 있다.

 

우리의 환경에서 모든 위험을 제거하려고 한다면 우리는 안전해지지 않는다. 주변의 모든 위험 요소를 제거하려는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