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재식의 세균 박람회
곽재식 지음 / 김영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미생물은 극소임에도 멀리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인간에게 유익한 미생물을 통해 우리가 존재하는지도 모른다. 인간은 미생물과 공생하며 살아가야 할 관계다. "『미생물이 플라톤을 만났을 때』(김동규, 김응빈 공저, 문학동네)


세균도 미생물의 일종이다. 단, 세균이 곧 바이러스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세균과 바이러스의 크기를 비교하자면 사람과 사람의 피부에 난 점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바이러스는 백해 무익하다. 반면 세균은 인간에게 유익한 것이 많다. 독감 바이러스, 코로나19 바이러스처럼 '바이러스'는 생명에 치명적인 경우가 대다수다. 세균은 김장, 청국장, 페니실린과 같은 항생제처럼 인간과 공생하며 살아간다.


『곽재식의 세균 박람회』에서는 아주 오래 전부터 인류와 함께 했던 세균부터 시작하여 앞으로 우주 시대를 맞이하여 함께 할 수 있는 세균에 이르기까지 총만라하여 정리해 주고 있다. 인류가 세균을 육안으로 발견한 것은 렌즈가 발명되면서부터다. 그 전까지는 세균의 실체를 몰랐거나 불분명하여 세균의 현상을 괴담으로 여기거나 미신과 같은 풍속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바다물이 피빛으로 변하면 마치 바다신이 노했다라고 역사 기록에 남겨 후세대에게 경각심을 심어주는 식으로 말이다. 하지만 세균의 실체를 발견하면서 녹조 및 적조 현상이 세균 덩어리로 인해 생긴 현상임이 밝혀졌다.


유익한 세균이 있는 반면 생명을 위해가 되는 세균이 있다. 예를 들면 2001년 미국에서 탄저균 공격을 저지른 테러리스트는 탄저균을 아예 간편하게 가루 형태로 만들어서 우편으로 배송한 적이 있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황색도도상구균도 주의해야 할 세균이다. 지금은 그렇지 않지만 1970년대만 해도 병원에 가지 않고 집에서 출산을 하는 경우가 많아 파상풍균이 묻은 가위로 탯줄이 감염되어 아기들이 한 해에 무려 7천 명이나 죽어간 사례도 있다.


공기 중의 질소만 빼 낼 수 있는 기술이 없을 경우에는 콩과 식물에 기생하는 세균들에 의해 만들어진 질소로 땅을 비옥하게 할 수 있었다. 최근에는 질소 비료 공장에서 만들어진 '질소'로 대량 공급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었다. 질소는 예로부터 화약 재료로 쓰였다. 화약을 만들기 위해 질소가 녹아 있는 흙을 캐내야 했다. 조선에서는 임금이 사는 궁궐 흙에 질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해서 그 흙을 캐내어 썼다는 기록만 남아 있다. 세균은 생활 깊은 곳곳에 유용하게 쓰여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흐르는 물에 손을 씻기만 해도 세균들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반면 대장균들은 사람 몸 속 깊은 곳에 기생한다. 산소에 취약하기 때문에 산소가 들어올 수 없는 대장에 자리를 잡고 살아간다. 어찌보면 세균은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 다음으로 많다고 봐야 할 것 같다. 세균을 알아야 나를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