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 대, 미래를 과학하라! 10월의 하늘 시리즈 6
정재승 외 지음 / 청어람미디어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대에 내노라하는 과학자들이 뭉쳤다!

 

자신의 명성을 알리기 위함이 아니다. 수강료를 받기 위함도 더더욱 아니다. 그들이 이름도 없는 지방으로 내려간 이유가 무엇일까? 과학에 대해 호기심만으로 몰려든 남녀노소, 특히 10대 청소년들의 똘망똘망한 눈망울을 보며 미래의 과학자가 될 꿈을 키워주기 위해 무료 강연을 매년 10월 마지막주 토요일에 연지도 벌써 10년이라고 한다.

 

다양한 강연들을 책으로 묶어낸 결과물이 바로 이거다. 머리말에서 저자들의 대표격인 정재승 과학자가 말했듯이 과학을 실험이나 논문으로만 접할 것이 아니라 책이나 방송, 강연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시켜 나가야 하며 특히 과학의 발전은 호기심에서 비롯되었으니 10대들이 진지하게 독서를 통해 과학적 사고력을 발전시켜 나갔으면 하는 큰 바램이 가지고 이 책을 엮어 냈다고 한다.

 

특히 앞으로 시대변화는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변화될 것이 분명하다. 이것을 대비하기 위해 10대들은 인문학과 사회과학적인 사고과정을 익혀야 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폭넓은 독서와 글씨기를 추천하고 있다.

 

뇌과학자인 장동선 박사는 뇌와 뇌를 연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공감과 이해라고 한다. 다른 사람의 뇌파와 싱크함으로써 행복울 다함께 누릴 수 있다고 말한다. 과학이 인문학적 소양과 인간의 기본 자질과 함께 갈 수 밖에 없음을 말해준다. 슈퍼 컴퓨터 분야의 탁월한 전문가인 이 식 박사는 슈퍼 컴퓨터의 발달로 다양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졌다고 말한다. 이것은 실제로 위험성을 담보로 실험하지 않더라도 가상의 공간에서 모의실험을 통해서도 충분히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음을 이야기해 주고 있다. 인류의 건강을 위한 모의 약 실험도 사람을 대상으로 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시뮬레이션으로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음을 말해준다.

 

털보 과학관장으로 유명한 이정모 박사는 과학에서 중요한 것은 '나도 모른다'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공룡에 털이 없다는 사실을 모르는게 정상이다. 최근 발견된 화석을 통해 공룡도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표현도구로 털을 지니고 있었으며 알을 품고 새끼를 부화해내는 본성을 지닌 동물임을 밝혀냈다. 오래 전 시대에 살았던 공룡에 대해 모르기에 여러 다양한 질문을 통해 정확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과학하기는 끝없이 질문하는 과정이며 그곳에서 기쁨을 얻을 때 진정한 과학자로 거듭날 수 있음을 넌지시 제시하고 있다.

 

제주남방돌고래를 관찰하기 위해 육상에서, 선박에서 오랜 시간을 버텨낼 수 있는 것은 누가 돈을 준다고 하더라도 꾸준히 할 수 없는 일이게다. 돌고래를 사랑하고, 돌고래의 행동생태를 알아내기 위한 호기심이 위대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세계 최초로 돌고래를 원래 서식지로 방류해서 적응케 했다. 이모저모 숱한 역경을 이겨낸 과학자들의 실제 경험담을 담아낸 강연이 10대들의 가슴에 불을 지필 것이고, 강연 내용을 담아낸 책을 통해 곱씹어 읽어냄으로 또 한 명의 과학자를 탄생시켜 내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