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력 키우는 장내 미생물 - 바이러스 공포 이겨내는 방법
김세현 지음 / 지식과감성# / 202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코로나-19 로 인해 건강에 관한 관심이 여느 때보다 강하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병-19라는 명칭처럼 바이러스는 감염병의 주범이다.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도 미생물의 일종이다. 조류독감, 인플루엔자, 사스도 바이러스로 인해 생긴 감염병이다. 바이러스는 양면성을 가진다.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경우도 있지만 좋은 일도 한다. 면역계를 자극해 암세포의 공격으로부터 인체를 지켜내기도 한다. 바이러스보다는 작지만 유해물질의 분해를 돕는 박테리아도 미생물의 일종이다. 이처럼 미생물은 건강과 직결된다. 그런데 미생물이 가장 많이 서식하는 곳이 어디인줄 아는가?

 

미생물이 주로 서식지 하고 있는 곳, 장(腸)!

 

장을 제2의 뇌라고 명명한 학자도 있다. 대장, 소장, 십이지장, 위장 등 장기 내부의 대부분을 장을 차지한다. 장의 기능은 소화와 대사 작용을 주로 담당한다. 흔히들 소화가 안 된다고 말할 때 소화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소화제를 복용하는 것은 곧 소화를 돕는 효소를 먹는다는 뜻이다. 평소에는 장내에 서식하고 있는 소화 효소가 왕성한 분해 작용을 통해 소화를 돕지만 과식하거나 과다한 육류 섭취로 효소가 감당하기에 벅찰 경우에는 미처 소화를 끝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건강의 적신호다. 소화를 제대로 해 내야 대사작용을 곧이어 할 수 있는데 말이다. 장내에 서식하는 미생물은 효소를 발생시켜 소화와 대사를 원활히 돕는다. 소화와 대사의 비율은 소화보다 대사작용에 효소가 작용하도록 해야 한다. 소화 작용에 힘을 다 쏟을 경우 진작 중요한 대사 작용을 하지 못할 경우가 생긴다. 뇌, 심장, 신장 등 각 장기로 영양분을 보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할 경우 또한 건강의 적신호가 나타난다.

 

면역력을 키우는 가장 효과적인 질병 예방법은 장내 미생물을 건강하게 하는 것이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처럼 인체에 들어와 장 속에 들어간 유해균들은 즉각 처리되어야 한다. 100조 가량의 개체수를 자랑하는 미생물 중 유익균들이 다수 포진될 경우 유해균들은 금방 박멸된다. 하지만 항생제의 남용과 인스턴트 식품처럼 식품첨가제가 들어간 식품을 자주 섭취할 경우 장내 유익한 미생물들은 급격히 줄어들어 유해균들을 대항할 수 없게 된다. 그렇다면 장내 건강한 미생물을 증식시킬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대표적으로 발효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다. 낫또, 된장, 청국장처럼 발효된 효모로 건강한 식단을 섭취하는 것이다. 채소와 과일처럼 섬유질이 가득한 음식을 자주 먹는 습관을 가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꾸준한 걷기 운동과 햇빛 쬐기, 건강한 마음을 갖는 것을 추천하기도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실천방법은 '생활습관'을 통해 독소를 처리할 효모를 유지하는 것이다. 미생물은 크기대로 나열하면 효모, 박테리아, 바이러스 순이 된다. 효모는 미생물 중에 가장 덩치가 크다. 효모는 효소의 모체라고 보면 된다. 효소는 인체의 소화와 물질대사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다. 음식물을 치아로 충분히 씹어 침과 함께 잘 삼켜야 하는 이유도 침 속에 효소가 있기 때문이다.

 

발효음식, 현미, 채소가 장 환경을 아름답게 만드는 음식이다. 봄, 가을철 불청객인 비염도 면역시스템이 오작동으로 생긴 병이다. 장내 미생물을 통해 비염도 치료될 수 있다고 한다.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을 꾸준히 먹으면서 비염도 약물 없이 극복할 수 있다는 얘기다.

 

앞으로 사람은 바이러스와 전면적을 예고하고 있다. 코로나-19 가 지나가면 또 다시 다른 유형의 바이러스가 올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제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장내 서식하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질 것을 저자는 이론적 연구와 함께 실제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검증을 거쳤다고 한다. 약물에 의존하는 삶이 아니라 건강한 식습관을 통해 충분히 유익한 미생물로 바이러스를 이겨낼 수 있다고 강조한다. 한 번 쯤 귀기울만한 연구물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