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수용소에서 (양장) - 빅터 프랭클의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 청아출판사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 존재의 본질은 무엇인가?

죽음을 넘어 삶의 의미를 찾을 수 방법은 무엇인가?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읽고 교사의 존재의 이유를 깨닫는다!

 

죽음의 수용소 아우슈비츠에서 3년 간 강제 수용된 청년 빅터 프랭클은 인간 존재의 본질을 '책임감'에서 찾는다. 죽음을 극복하기 위한 삶의 의미를 찾는 방법은 책임감과 함께 사랑과 시련이라고 말한다. 로고테라피라는 정신요법 학파를 만든 것은 책상 앞에서 연구한 이론의 결과물이 아니라 그가 직접 수용소에서 보고 듣고 체험한 것을 바탕으로 했다. 수 많은 사람들이 로고테라피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다.

 

죽음의 수용소에서 살아 남을 수 있는 확률은 증언자들의 고백과 얼마 남지 않은 문헌을 토대로 확인한 결과 20명 꼴로 한 명 정도였다고 한다. 수용소에서는 자신이 그동안 누렸던 지위, 재산, 학력, 경력은 누더기보다도 못한 것이다. 한 줌의 빵을 얻기 위해 가혹한 형벌을 받는 동료들을 무시해야 했으며 시체 더미를 두고서도 썩은 감자를 쥐기 위해 손을 뻗어야 했던 무감각한 존재가 수용소 안의 죄수들이다. 가스실로 가지 않기 위해 말끔한 모습으로 살아 있어야 한다. 생의 의지를 잃어버린 죄수들의 특성은 마지막 남은 담배 한 개피를 피워 버리는 일이다. 담배 한 개피는 멀건 수프지만 굶주린 배를 달랠 수 있는 수단이다.

 

수용소 안에서 삶의 의미를 찾아내는 일은 죽기보다 어려운 일이다. 강제 노동, 학대, 굶주림, 정신적 착락, 전염병, 모멸감 등 수 많은 악조건을 이겨내야 하는 일이다. 수용소에 처음 갖힌 이들은 '충격'에 휩싸인다고한다. 그후 무감각해지고 혹여나 수용소에서 풀려나 자유를 얻더라도 한 동안 몸과 정신이 자유에 익숙해지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한다. 빅터 프랭클은 수용소 안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삶의 의미를 어떻게 찾아낼 수 있었을까? 아버지, 어머니, 자녀들, 아내 모두 수용소에서 살아남지 못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그는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해냈고 죽었든 살았든 소식을 알 수 없지만 그들을 불러내는 일을 멈추지 않았다. 또 한가지, 시련(고통)을 삶의 의미로 찾아냈다는 일이 놀랍다. 각종 시련 속에서 생명을 확인했고 하루하루 시련을 온몸으로 맞이하며 자신이 살아 있음을 의지로 불태웠다고 한다. 가스실로 가지 않았음을, 고열로 시름시름 앓았지만 운 좋게도 지독한 작업반에서 열외된 것을 감사하며 삶의 의미를 찾아냈다고 한다. 자살이라는 방법을 선택하는 이유는 불행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로고테라피 정신요법 학파는 환자들을 만나 삶의 의미를 찾게 해 준다. 환자들이 자신의 삶에 질문을 던지는 것이 아니다. 반대다. 지금까지 살아 온 삶이 자신에게 질문하도록 유도한다. 역질문법이다. 아내를 잃어버린 한 남편이 괴로워하며 상담을 요청해 왔을 때 역으로 질문한다. 만약, 당신이 죽고 아내가 살아 남아 있었다면 아내의 고통을 어떻게 할 거냐면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론을 인정하면서도 근본적인 해결점을 환자의 내면에서 찾게 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 스스로 책임감있게 살아갈 질문을 던지면서 삶의 의미를 찾도록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도 간혹 살아가면서 권태를 느끼거나 자유로움 속에서도 힘듦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접한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퇴직 하신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현직에 있을 때보다 퇴직 후 금방 늙는다고 한다. 해야 할 일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다. 그동안 충실하게 살아온 삶의 기록들을 자부심을 느끼기 보다 지나가버린 젊음을 부러워한다. 부러워하는 것은 지는 거다! 늙어가는 것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주위에서 도와주어야 한다. 로고테라피 정신요법에서 말하는 상담 기법이다. 적절한 긴장은 오히려 삶 속에서 활기가 된다고 한다. 정신적 긴장을 통해 자신이 살아 있음을 느끼는거다.

 

교사의 존재의 이유는 무엇일까? 두말하면 잔소리다. 학생들이 있기에 교사가 존재한다. 코로나바이러스-19 감염병으로 인해 사상 초유의 4월 개학이 현실화되었다. 학생들과의 만남이 지연되면서 내가 교사가 맞나? 라는 생각이 든다. 학생들이 없으면 행복할 것 같았는데 천만의 말씀이다. 가르쳐야 한다는 책임감, 미워도 다시 한 번 돌아보게 되는 사랑할 수 밖에 없는 학생들, 학생들을 중심에 두고 펼쳐지는 학부모와의 적절한 긴장은 나를 교사로 존재하게 하는 이유가 된다. 교사로 살아가는 삶의 의미를 찾게 해 준다. 바쁠 때 짬을 내어 쉬는 쉼이 꿀맛같은 쉼이 될 수 있는 것처럼 학생들과 한 교실에서 함께 북작거리면서 살아갈 때 퇴근 뒤의 쉼이 진정한 쉼이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