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의 마법 - 나의 인생을 바꾼 성공 공식 everything=figure out
마리 폴레오 지음, 정미나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서 내가 뭘 배울 수 있을까?', '이걸 내게 유용하게 활용할 방법은 없을까?' 자기계발서라고 해서 터부시하거나 가볍게 읽지 말라고 서두부터 저자는 당부하고 있다. 사실 '자기계발서'를 마취제처럼 잠깐 흥분하게 만드는 책으로, 시간이 지나면 약간의 흥분된 감정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고 평상시처럼 돌아오게 만드는 단순한 가십거리의 책으로만 생각해 왔다. 왠지 자기계발서를 읽는 시간은 낭비처럼 생각되어 오던 찰나에 우연한 계기로 『믿음의 마법 』을 접하면서 기존 생각에 약간 금이 가기 시작했다.


독자들이 언뜩 '믿음의 마법'이라는 책 제목을 보면 자신에게 주문거는 것처럼 이상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다. 마음 먹은 대로, 생각만 긍정적으로 하면 모든 지 할 수 있겠다라는 환상을 심어줄 수도 있겠다. 하지만, 『믿음의 마법』을 쓴 저자 마리 폴레오의 삶을 읽어보면 단순히 환상을 심어주는 자기계발서가 아님을 알게 될 것이다. 저자가 책만 팔아먹기 위해 그저 사탕발린 이야기만 펼쳐 놓은 책이 아님을 금새 알게 될 것이다.


마리 폴레오는 저소득층 공영주택단지에서 알코올의존증 부모 밑에서 자랐다. 그녀가 학교에 입학 했을 때 쯤이면 돈을 벌어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엄마가 이혼당하기도 했다. 신체적 학대로 얼룩진 어린 생활을 보내기도 했으며 근로장학생 자격으로 학업과 일을 병행해야 했다. 뉴욕 증권거래소 어시스턴트로 취직하여 그제서야 어려운 집안 살림을 일으킬 수 있을 있겠다 싶었지만 마리 폴레오는 과감히 사표를 던졌다. 자신만의 다른 일을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뒷날에 밝히는 이야기지만 마리 폴레오는 '다중열정적 기업가형'을 지닌 사람이었다. 커리어, 직업, 생계와 관련하여 구시대적 통념에 물들기를 거부하고 다중열정적이며 창의적 일을 해야 직성이 풀리는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이었다.


다중열정적인 사람은 미래를 걱정하느라 현재를 온전히 살아가지 못하는 사람들과 정반대로 행동한다. 두려움과 주저함, 불확실성을 무릅쓰고 당면한 과제를 향해 전진한다. 치밀한 계획을 세우느라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일단 행동으로 옮긴다. 상처 입을 각오를 한다. 불안감을 느끼지만 오직 성장과 배움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스스로 감내해 낸다. 완벽주의는 스스로를 파괴하는 방식이다. 완벽주의는 치명적이다. 창의성을 공격하는 독사와도 같다. 전진이 있으면 반드시 후퇴가 있는 법이다. 사람이기때문에 기복이 뒤따른다. 실패를 속단하지 않는다. 자신에게 주어진 재능이 고착되기 보다 노력과 끈기, 경험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는다.


해결 불가능한 문제는 없다!


핑계는 작은 거짓말에 불과하다. '할 수 없다'라고 말하는 것은 '안 할 거야'의 완곡한 표현에 불과하다. 행동하고 싶지도 않고 위험을 감수하고 싶지 않다는 말이다. 괜히 뛰어 들었다가 거북해지거나 불편해지는 상황에 맞딱뜨리고 싶지 않다는 얘기다. '할 수 없다'라고 말하면 자신의 삶에 책임감이 없어진다. 책임질 일이 없어지니 결국 삶을 변화시킬 힘도 포기해 버린다.


『믿음의 마법  』에서는 '해결 불가능한 문제는 없다!'의 대표적 사람 세 명을 소개하고 있다. 17살 때 역대 최연소 나이로 노벨 평화상을 받은 파키스탄 소녀 '말랄라 유사프자이', 뱀상어에게 물려 왼쪽 어깨 아래로 팔 전체가 날라가 버렸지만 결국 회복된 후 서핑 전문 서퍼로 살아가는 '베서니 해밀턴', 짐바브웨에서 가난한 여자에다가 온갖 학대를 받으며 지냈지만 결국 외국에 나가 박사학위를 받고 지역사회를 변화시킨 '테레라이 트렌트'. 이들의 공통점은 현실을 이겨내고자 삶의 태도를 바꾼 전형적인 인물들이라는 점이다.


핑계는 자신이 만든 감옥에 불과하다. 짐바브웨 출신 테레라이가 학위를 따기 위해 미국의 쓰레기통을 뒤지며 굶주린 배를 채워가는 삶을 읽어본다면 그 어느 누구도 핑계로 자신을 가둘 수 없을 것이다. 대표적인 핑곗거리가 있다. 시간이 부족하다, 돈이 부족하다. 요령이 부족하다. 미디어 금식만 지켜도 시간 부족하다는 핑계는 쏙 들어갈 것이다. 인터넷을 잘 만 사용하면 무료로 자신이 공부하고 싶은 영역을 배울 수 있다. 돈 없다고 핑계 댈 게 아니다.


"해결 가능성의 철학은 고통 없는 삶을 약속해 주지 않는다. 후회 없는 삶을 약속해 줄 뿐이다"


뭔가를 추구하고 싶다면 쉬울 거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모험이 뒤따른다. 두려움이 따른다. 두려움은 행동을 해야 소멸된다.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행동을 시작한다. 2020년이 시작된 게 불과 얼마 안 된 것 같은데 벌써 3월 중순을 향해 간다. 체력이 고갈되어 가는 나이라고 해서, 이건 내가 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야라고 미리 포기하지 말자. 물론 사람은 모든 일을 다 할 수 없다. 못 하는 일이 분명 있다. 그러나 할 수 있는 일이라면 용기를 내어 시도해 보자.


『믿음의 마법』이 안주하려는 삶의 태도에 다시금 새로운 바람을 불어 넣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