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탄생 - 현장 교사의 성찰적 교사론, 아이들 세계로 들어간 교사 행복한 교과서 시리즈 36
이경원 지음 / 행복한미래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사의 탄생』책을 보시면 알겠지만 책 속 모든 삽화를 이경원 선생님이 직접 그렸다. 지난 달 연수에서 뵌 적이 있다. 아이패드를 보여주시면서 그림을 그리는 방법에 대해 잠깐 설명해 주었다. 기존 사진 파일 위에 터치만 해도 그럴싸한 그림이 나온다며 같이 근무하는 교사들에게도 적극 권장하고 있다고 한다. 제법 비용이 드는거라 부장교사들에게 자주 권한다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능을 아무렇지도 않게 나눠주시는 것 같다. 책 표지 그림도 이경원 선생님이 직접 그렸으리라 짐작이 된다. 그림 감각이 있는데다가 최신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인이 원하는 방향대로 내용에 걸맞게 그리는 것 같다. 한 눈에 볼 수 있게, 정리를 깔끔하게 하는데 그림을 주로 활용하는 듯 싶다.

 

이경원 선생님은 교육과정 설명회(학급)에 학부모를 초대하고, 교육과정 설계에 학부모를 동참시킨다. 함께 근무하는 교사들에게 오해도 샀을 것 같다. 자신이 구상하는 주제 중심 교육과정을 온전히 실현하기 위한 고육지책이었을게다. 필요하다면 휴일에도 학부모들과 만남을 통해 상담을 이어가고 결국 학생을 성장시키는 일에 자신의 전 시간을 온전히 쏟아붓는 교사의 삶을 살고 있다. 그의 관심사는 오직 학생이다. 승진도 아니다. 오십을 바라보는 나이라면 승진에 관심을 가져봄직도 할 텐데 그는 여기에 전혀 관심이 없다. 오직 학생을 위한 길만 걸어가겠다고 한다. 달리 스타교사가 아니다. 학생들을 위해 열정을 쏟고 수업과 생활교육, 학급운영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교육과정에 담기 위해 전심전력 다하기에 전국의 교사들에게 귀감이 되는 것 같다. 이름을 내기 위해 하는 활동이 아니라 학생들과 함께 생활해보니 어느날 유명한 교사가 되어버린 셈이다.

 

"그동안 일상적으로 해오던 수업들이 분절적이었다면 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수업을 개발하면서부터 모든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수업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1년 동안 함께 생활하는 학생들을 중심에 두고 큰 주제를 몇 개 잡는다. 각 교과에서 적용할 소주제를 뽑아낸다. 교사의 시간과 열정과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다. 프로젝트 수업 별거 아니다. 교사가 얼마나 사전에 계획을 철저히 세우고 끈기를 가지고 적용하느라에 달려 있다. 알고 있지만 힘들기에 시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이경원 선생님 수업은 모두가 감탄한다. 개인의 스킬이 아니다. 학생들을 향한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학생들의 감각을 깨우기 위해 생태 활동에도 적극적이다. 야간 활동도 주저하지 않는다. 촘촘한 계획이 뒤따르지 않으면 불가능한 활동들을 연간 계획에 맞춰 차근차근 진행해 간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감각들 중 촉각에 대한 경험이 최근 들어 약해지고 있다. 이러한 결핍이 여러 가지 생활 속 문제로 나타난다."

 

초등학교 교실에서 학생들이 액괴(액체괴물)를 만지작 거리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3월 신학기가 되면 학교마다 학부모를 대상으로 교육설명회를 연다. 이경원 선생님이 근무하는 학교에서는 학년을 맡으신분들이 '학년 교육과정'을 설명한다고 한다. 보통 '학교교육과정'을 설명하는 학교와 다르다. 이유는 여기에 있다. 학교라는 곳은 교장선생님 또는 특기를 가지고 있는 몇 몇 교사들에 의해 움직여 지는 곳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 학급을 맡고 있는 교사들이 학생들을 어떻게 수업하고 생활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 곳이어야 한다. 교장선생님의 학교 경영관을 펼치는 곳이 아니라는 것이다. 일리가 있는 말이다. 학교는 '학생'을 중심에 두고 생각해야 하는 곳이라는 철학에 공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