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나가려고 화장을 하는데 뭔가 어두워서 보니 블라인드를 걷지 않은 걸 발견했다. 어두운데서 화장을 하면 꼼꼼하게 할 수 없기도 하고 특히나 요즘 건조해서 조금이라도 방심하면 화장이 떠버려서 화장할 때 빛은 필수. 황급히 블라인드를 걷어내니 조명을 무색하게 하는 태양빛이 들어온다. 어제 한 마사지 필링이 조금 효과가 있으려나 하며 거울을 들고 다시 화장을 하는데 문제는 뜬 화장보다 눈가의 주름.
언제나 웃을 때 눈부터 웃어져버리니 눈가의 주름이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었다만 조금 짙어진 것인지 오늘따라 확연히 눈에 띈다. 아보카도가 함유된 비싼 아이크림을 항상 바르고 있으니 더 이상 노력할 것도 없고, 세월의 흐름을 탓할 수도 없는 노릇이니 슬퍼할 것도 없는데 괜히 울적해졌다. 웃을 때 생기는 주름은 웃을 때 생성되는 주름방지 호르몬(?) 덕택에 걱정할 일이 없다고 들어서 이를 철썩같이 믿고 양껏 웃어제꼈는데 이젠 노화방지를 위하여 조금 참아야 할까 고민된다.
예전에 취업 준비 스터디를 할 때 만났던 사람들 중에 약간 마음이 있었던 오빠가 있었다. 심각했던 건 아니었고, 마음이 깊어지기도 전에 스터디 멤버 중의 하나랑 커플이 되어서 그냥 접어버리고 말았는데 밴쿠버에 도착한 날, 메신저로 쪽지가 왔다. 기쁜 소식이 있다고. 대번에 결혼하냐고 물었더니 그렇단다. 만감이 교차할 수 밖에. 인연이 아니어서 그랬겠지만 내가 밴쿠버 백패커 싸구려 침대 위가 아니라, 그 신부 자리에 서 있었을지 누가 알겠는가. 만약 내가 그 오빠를 꼬시는데 성공해서 캐나다고 뭐고 계획할 생각조차 못하고 회사에 다니다가 사랑하는 그 사람과 결혼을 했다면 어땠을까.
나는 결혼을 종착지점으로 여기고 있는 듯 하다. 물론 새로운 시작점이어서 그렇기도 하겠지만. 어쨌든 결혼을 하면 방황이고 젊음이고 뭐고 다 끝날 것만 같다. 그래서. 웨딩사진을 보는데 무척 부러워졌다. 나는 내가 어디있는지도 모르고 둥둥 떠다니기만 하는데 그들은 그 둘만의 따뜻하고 안락한 보금자리를 마련한거니까 그게 참 좋아 보인다. 만약 3년 전으로 돌아가서 다시 스터디 모임을 시작하게 된다면 난 어떤 선택을 하게 될지 사실 모르겠다. 관계라는 것이 내 의지만으로 되는 게 아니기도 하지만 그래도 대단히 고민할 것만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둘이 사귀게 냅두겠지. 나는 2007년도 하반기 취업에 실패하고는 인도로 떠났을테고.
생각해보면 결혼을 하지 않을 것 같다고 말하고 다니는 건 어딘가에 붙을 '아직은' 이라는 시간부사를 생략한 것일테다. 언젠가는 할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눈가에 주름을 보며 홀로 쓸쓸히 늙어감이 어떤 것인지를 약간이나마 체감한 지금도 실은(이런 내가 참 어이없기도 하고 짜증도 나지만) 나의 모든 선택에 대한 후회는 없다. 하루 하루가 시험이고, 언제 불어닥칠지 모르는 폭풍우를 천막 하나만 갖고 기다리고 버텨야 하지만 아직은 이걸 끝낼 자신이 없다. 아무것도 새로울 것이 없는 평온한 하루를 맞이하기 위해 후회와 함께 눈을 뜨는게 어떤건지 잘 아니까. 잘 살아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