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시끄러운 고독
보후밀 흐라발 지음, 이창실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장이 소리지르고 양손을 비틀며 협박해대도 나는 내 지하실을 빠져나와 발길 닿는 대로 다른 지하 세계들을 찾아간다. 그중에서도 중앙난방 제어실에서 일하는 동료들을 보러 가는 게 가장 즐겁다. 개들이 개집에 매여 있듯이 일에 매여 있는,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다. 그들은 일을 통해 배운 것들을 가지고 동시대 역사를, 그러니까 일종의 사회학적인 앙케트를 쓴다. 극빈층이 점점 줄고 있다는 것과 하층 노동자들이 교육을 받게 된 한편으로 대학 졸업자들이 이 노동자들을 대체하고 있다는 것도 그곳에서 알게 되었다. 어쨌거나 나의 가장 절친한 친구는 단연 하수구 청소부들이다. 아카데미 회원이었던 두 사람은 프라하의 하수구와 시궁창에 대한 책을 쓴다. 포드바바 하수처리장으로 흘러드는 배설물이 일요일과 월요일에는 판연히 다르다는 걸 내게 가르쳐준 것도 그들이다. 요일별로 콘돔 배출량에 따른 배설물의 유량을 그래프로 작성해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어느 동네 사람들이 성생활을 가장 많이 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런데 무엇보다 인상 깊었던 건, 인간의 전쟁만큼이나 전면적인 회색 쥐들과 검은 시궁쥐들의 전쟁과 관련해 그들이 쓴 기사였다. 그 전쟁 중 하나가 회색 쥐들의 완벽한 승리로 막을 내린 참이었다. 쥐들이 지체 없이 두 개의 무리, 두 개의 종족, 두 개의 조직화된 사회로 나뉘어 싸웠던 것이다. 프라하의 하수구와 시궁창에는 쥐들이 생사를 건 대전쟁을 벌이는데, 승리하는 쪽이 포드바바까지 흘러가는 배설물과 오물을 전부 차지하게 된다. 그러나 전쟁이 끝나면 변증법의 논리대로 승자가 다시 두 진영으로 나뉜다는 것도 그 고매한 하수구 청소부들이 내게 알려주었다.

#보후밀흐라발 #너무시끄러운고독 중에서

밀란 쿤데라가 극찬했다는 등등 수사가 화려해서 어쩔 수 없이 기대하며 읽었는데, 별 감흥이 없다. 조금 전 읽은 책에서 로베르트 무질이 이미 오래 전부터 그랬다고 증명한 것처럼, 천재도 너무 많고 걸작도 너무 자주 탄생한다. 이런저런 신문사에서 올렸다는 화려한 말의 상찬은 그렇다 치고 밀란 쿤데라의 치켜세움이 가장 의아한데, 아마 본인은 체코 땅을 떠나 프랑스어로 글을 썼는데 보후밀 흐라발은 끝까지 체코에 남아 체코어로 글을 썼다는 데 대한 미안함, 혹은 의무적인 존중 때문에 그랬던 게 아닐까 의심스럽다. 아니면 위대한 걸작을 알아보는 눈이 나에게 없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