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의 변화 - 상
산도르 마라이 지음, 김인순 옮김 / 솔출판사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1부 일롱카 - 열정적 사랑
 
숨도 못 쉬고, 물도 못 마시고 읽었던 1.

 

책을 읽으면서 몰입할수록, 내 속에서는 갖가지 단어들이 합체하지 못한 채 마구 튕겨 올라왔고
포스트잇까지 붙여가면서 그 단상들을 붙잡고 싶었다. 일롱카에게 페터와 함께 한 시간은 행복하고 무난했던 몇 년이든, 괴롭고 억지로 이어갔던 몇 년이든, 그저 '그의 시간'의 고정돼 있었다.

그는 아직도 그녀를 멀리서 그를 잠깐 보는 것만으로도 한겨울에 차가운 아이스크림을 큰 숟가락으로 퍼먹게 만드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시린 존재.

 

2부 페터 - 용기 없는 사랑
 
페터가 유디트에게 엉켜있지 않았더라면 일롱카가 그와 헤어진 뒤 그를 우연히 만났을 때 그렇게 큰 숟가락으로 쉴 새 없이 아이스크림을 퍼먹진 않았을 것이다. 페터가 한 번 건드려보지도 못하고 겁을 집어먹은 채 유디트를 마음속에 품고 있지 않았어도 일롱카에게 그렇게 매력적인 인물이었을까.

손에 들어온 것보다는 손 끝에 닿는 것이 훨씬 매력적인 법이니까. 페터가 일롱카에게 얘기했듯이 그들의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이 문제인지를 말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이지만 아무리 모른 척 눈 돌려봐도 결국 문제는 문제. 결국 헤어졌잖아.

3부 유디트 - 파괴적 사랑

그들의 관계는 처음부터 셋이었다. 그랬기 때문에, 그들의 관계는 시작되고 유지될 수 있었다. 유디트의 사랑은 경외였으며 경외는 무의식에서 솟구쳐 올라온 경외라고 믿었던 다른 것이었다. 유디트가 그 사실을 조금만 더 빨리 알았다거나 조금만 더 늦게 알았더라면 또 한 번의 결혼이 미완으로 끝나지 않았을 텐데-

시작도 되지 않았을 거니까. 그리고 그들도 결국은 헤어졌잖아.

 
일롱카에서 페터, 유디트로 이어지는 이야기는 시차가 드러난다. 일롱카의 이야기가 시기적으로 가장 앞서 있고 유디트의 이야기는 시기적으로 가장 뒤에 있다. 또 일롱카의 이야기가 지극히 페터에게 초점 맞춰져 있었다면 페터의 초점은 유디트였고 유디트의 초점은 사회 속의 자기자신과 그들이었다.

그러니까 결국 이들이 서로 결혼을 하게 된 데는, 사적인 감정 따위는 사실상 영향을 주지 못했고 사회가 이들을 그렇게 하게끔 등을 떠민 셈이다. 그리고 그들은, 그것이 자신의 감정이며 의지라고 생각했나 보다.


읽으면서 나는 이게 무어 특별히 결혼 이야기냐 생각했는데, 이건 사랑 이야기다 생각했는데, 사랑 이야기보다는 결혼 이야기에 가깝고 결혼 이야기보다는 어떤 '', 우리가 무의식 중에 우리에게 씌운 틀에 관한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