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 실격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다자이 오사무 | 인간실격 | quick space 2004/07/15 02:48
저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남이 저를 죽여줬으면 하고 바란 적은 여러 번 있었지만 남을 죽이고 싶다고 생각한 적은 한번도 없습니다. 그것은 오히려 상대방을 행복하게 만드는 일일뿐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p.32)
아름답다고 느낀 것을 아름답게만 표현하려고 노력하는 안이함과 어리석음. 대가들은 아무것도 아닌 것을 주관에 의해 아름답게 창조하고, 혹은 추악한 것에 구토를 느끼면서도 그에 대한 흥미를 감추지 않고 표현하는 희열에 잠겼던 것입니다. (p.41)
비합법. 저는 그것을 어렴풋하게나마 즐겼던 것입니다. 오히려 마음이 편했던 것입니다. 이 세상의 합법이라는 것이 오히려 두려웠고(그것에서는 한없는 강인함이 느껴졌습니다.) 그 구조가 불가해해서, 도저히 창문도 없고 뼛속까지 냉기가 스며드는 그 방에 앉아 있을 수가 없어서 바깥이 비합법의 바다라 해도 거기에 뛰어들어 헤엄치다 죽음에 이르는 편이 저한테는 오히려 마음이 편했던 것 같습니다. (p.51)
저는 쓰네코(라고 한 것으로 기억합니다만 기억이 희미해서 분명하지는 않습니다. 함께 정사(情死)를 기도한 상대방의 이름조차 잊어버리는 저입니다.)가 시키는 대로 긴자 뒷골목 어떤 초밥 노점상에서 정말로 맛없는 초밥을 먹으면서 그 사람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 사람의 이름은 잊었지만 그때 초밥이 맛이 없었다는 사실만은 어떻게 된 셈인지 확실하게 기억에 남아 있습니다. (p.60)
아아, 인간은 서로를 전혀 모릅니다. 완전히 잘못 알고 있으면서도 둘도 없는 친구라고 평생 믿고 지내다가 그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한 채 상대방이 죽으면 울면서 조사 따위를 읽는 건 아닐까요. (p.92)
저희는 그때 희극 명사, 비극 명사 알아맞히기 놀이를 하였습니다. 이것은 제가 발명한 놀이로, 명사에는 모두 남성 명사, 여성 명사, 중성 명사 등의 구별이 있는데 그렇다면 희극 명사, 비극 명사의 구별도 있어야 마땅하다. 예컨대 증기선과 기차는 둘 다 비극 명사고 전철과 버스는 둘 다 희극 명사다. 왜 그런지를 이해 못하는 자는 예술을 논할 자격이 없다. 희극에 하나라도 비극 명사를 삽입하는 극작가는 이미 그것만으로도 낙제. 비극의 경우도 똑같다는 논법입니다. (p.109)
죄와 벌. 도스토예프스키. 언뜻 그 생각이 머리 한쪽 구석을 스치자 흠칫했습니다. 만일 저 도스토 씨가 죄와 벌을 유의어로 생각한 것이 아니라 반의어로 병렬한 것이었다면? 죄와 벌, 절대 서로 통할 수 없는 것. 얼음과 숯처럼 융화되지 않는 것. 죄와 벌을 반의어로 생각했던 도스토예프스키의 바닷말, 썩은 연못, 난마의 그 밑바닥...... 아아, 알 것 같다. 아냐, 아직...... 하며 머리에서 주마등이 빙글빙글 돌고 있을 때였습니다. (p.115)
--------------------------------------------------------------------
다자이 오사무(1909-1948)는 약이나 의사, 목사, 중은 희극명사, 담배, 삶, 만화가가 비극명사라고 생각했다. 그 중에서 삶이 비극명사인 이유는 삶이 희극명사이면 모든 명사가 희극명사가 되어버리기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죄와 벌이 유의어가 아니듯이, 삶과 죽음도 반의어가 아니다.
그런데 이 희극 명사, 비극 명사 알아맞히기 놀이나, 반의어 맞히기 놀이는 너무나 모순 투성이다. 기면 기고 아니면 얼마든지 아닐 수 있다. 뭐든 삶에서 하나 깨달은 바가 있는 사람의 말은 언제나 이렇게 모순투성이일 수 밖에 없다고 하셨던 이성복 선생님의 말씀이 옳았다. 사는 것 자체가 그렇게 생겨먹었다.
죽음이 행복해지는 길이고, 마음편해지는 길이라고 생각하며 몇 번씩이나 애인과의 정사를 기도하고, 결국은 성공을 거두어 죽은 그는 더 자세히 알고 있을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