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가를 냈다. 총 4주 중 2주가 지나갔다.
병가의 사유는 통증보다는 질병, 질병보다는 두려움이다.
처음이 아닌 수술을 받았고, 퇴원 후 예상치 못한 재감염 때문에 금세 다시 입원을 했고, 다시 퇴원 후 사회로 복귀했지만 여전히 증상이 나타났다.
수술을 집도했던 의사는 괜찮다고 했지만 불안했다. 증상이 있는데 괜찮다고 하니 더 불안했다. 이성복 시인이 말한 ˝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던 바로 그 상황에 내가 처해있다는 확신이 들었다.
아침에 일어나 오늘은 그 증상이 없어졌는지, 없어지지 않았다면 최소한 어제보다 덜해졌는지 확인했다. 퇴원 후 어느 시점부터 병가를 신청하기까지의 약 2주간은 확인할 때마다 어김없이 좌절이 결과로 따라왔다. 증상은 오히려 점점 더 강해질 뿐이었다. 그러다 결국 나는 두려움에 무릎을 꿇었다. 아침마다 기대하고 좌절하는 일을 더이상은 감당할 수 없었다.

병가를 내기로 하고 2주간은 맡아왔던 업무들을 정리했다. 조급한 마음에 비하면 2달 같았던 2주도 가고 마침내 4주간의 휴식이 시작됐다. 그 중 지난 2주는 말 그대로 몸이 시키는대로 게으르게, 병가의 관점에서는 부지런히 쉬었다. 배고프면 먹고 잠이 오면 자고 가급적 아무런 생갇을 하지 않기 위해서 티비만 봤다. 괜히 어떤 상념을 불러올 만한 책이나 영화도 피하고 업무 메일도 보지 않았다.

증상은 휴식 1주차가 지날 때까지는 전혀 호전의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2주차에 접어들면서 마침내 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날도 나타났다. 하지만 이대로 낫는 건가 싶으면 다음날 다시 증상이 나타나고, 그래서 절망하면 다음날 다시 괜찮은 식으로 1주가 갔다. 그 사이 타온 약이 떨어지고, 증상은 다시 3일에 한 번 꼴로 나타나지 않아 나는 절망과 희망 사이를 끊임 없이 오락가락하게 됐다.

그러다보니, 주어진 1달 안에 완전히 다 낫진 못할 거라고 다시 한 번 낙담하게 됐다. 처음 병가를 낼 때만 해도 다 낫지 않으면 회사에 돌아가지 않겠다고 다짐했지만, 이쯤 되고 보니 영영 좋아지지도 않고 회사도 너무 오래 쉬게 되는 건 아닌가 불안해졌다. 그래서 2주 후에는 증상의 발현 혹은 완치 여부와 상관없이 일터로 돌아가기로 혼자 마음을 먹었다. 그 마음을 먹고 보니 돌아가서 맞이해야할 녹록지 않은 일과 상황들에 준비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설연휴를 감안하면 실제로는 7일 정도에 불과한 워킹데이 동안 400통이 넘는 읽지 않은 메일들이 쌓여있었다.

그 중 중요한 메일들을 골라서 읽고 불필요한 메일들을 정리했다. 그러나 밀린 메일함을 열어보는 일은, 에덴 동산에서 선악과를 따먹는 것과 같은 행동이었다. 그 대가는, 불면의 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