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신과 머저리」, 그리고 이름에 '청'자가 들어간다는 이유만으로 나도 모르게 젊은 이청준만을 생각하고 있다가 한번씩 깜짝깜짝 놀란다. 「병신과 머저리」, 그리고 「눈길」의 10년 터울이 늘 새삼스럽게 나를 놀래킨다. 10년 사이 그는 정말 그렇게 늙어버렸던 것일까. 근원을 알 수 없는 상처에 시달리던 그가 어느새 노인에게 진 빚을 끊임없이 상기하게 될 만큼. 문학 속 주인공을 저자와 동일시하는 것은 참 나쁜 버릇이지만, 이 두 작품만을 놓고 봤을 때, 이청준의 '청'자가 조금은 늙어버린 것이 사실이다.

"더운 때 추운 때를 가려 살 여유"도 없던 그는 끊임없이 "나는 노인에 대해서 빚이란 게 없었다"고, "노인이 그걸 잊었을 리가 없다"고 지붕 개량 사업 얘기를 핑계삼아 웬 빚 이야기를 꺼내는 것이다. "노인의 눈길이 차라리 무표정에 가까운 것"일수록, 아무도 그를 채근하지 않아도 그는 자꾸만 빚을 생각하는 것이다. 없는 게 분명하다는 것을 노인이나 자신이나 분명하게 알면서도 분명하게 있는 빚. "노인에 대해선 빚이 없음을 골백번 속으로 다짐"할수록 형체를 드러내는 빚. 사채업자에게서 급하게 돈을 끌어다 쓰고 원금보다 불어난 이자 빚을 지게 된 사람처럼 그는 원칙적으로는 없는 것이 분명한 그 빚 때문에 마음이 불편하여 또 다른 핑계로 노인 곁을 떠나려고 한다.

그런 그를 위해 중개인으로 나서는 것은 그의 아내. 그를 원망하는 눈길을 보내어도 보고, "당신은 참 엉뚱한 데서 독해요" 다그쳐도 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놓은 수가 노인의 입을 통해 그 알 수 없는 '빚' 이야기를 꺼내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듣고 보면, 부모 자식간을 서로 빚쟁이 마냥 소원하게 만든 그 이야기는 미리 기대했던 것에 비하면 별 것 아닌 이야기이다. "액면가 없는 빚문서"처럼 그 시대를 살던 부모 자식이라면 누구라도 가질 법한, 흔하고 흔한, 그렇고 그런, 그냥 빚 이야기이다. 그 시대를 사는 부모 자식이 아니라도, 지금을 살고 있는 부모 자식이라도, 그 누구라도 지고 있을 그런 빚 이야기가 '눈길' 위에서 만들어졌던 것이다.

「눈길」의 '나'만큼이나 우리는 참 많은 것을 모른 척, 못 본 척하며 살고 있다. 너무 잘 알고 있어서 똑바로 마주 보기가 오히려 힘든 수많은 진실 속에서 살고 있다. 하지만 인정하기 싫은 진실, 쳐다보기 무서운 진실일수록 누구 하나 밟지 않은 눈길 위의 발자국처럼 너무나 선명하고 너무나 또렷하다. 보이기 시작하면 고통스러우니까 우리는 고집스럽게 눈을 가리고 아옹하며 사는 것이다. 누가 봐도 청산되지 않은 분명한 빚을 처절할 정도로 바락바락 아니라고 우기는 '나'처럼 우리도 그렇게 산다.

그런데, 부모는 다르다. 노인은 좀 다르다. 그네는 아무 것도 보지 못한다. '자식'이라는 몹쓸 이름만 걸리면, 그네들의 눈에는 빚 문서도, 다 허물어져 가는 지붕도, 눈길 위에 찍혀 있는 발자국도 모두 또 다른 빚처럼 짊어지고 살아야 할 무언가로밖에는 안 보인다.

서로 전생에 진 빚을 갚기 위해 엮인 관계라는, 촌수도 없다는 부모 자식 관계는 그 자체로 '나'의 실체 없는 빚 문서이고 고쳐두어야 할 지붕인 것이다. 아무리 갚고 또 갚아도, 아니 오히려 갚으면 갚을수록 이자가 무섭게 불어나는 무허가 사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