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사랑의 실험
신형철 지음 / 마음산책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를 보고 감상을 적다보면, 안 보이던 지점이 보일 때가 있다. 보고 나오면서 별로라고 생각했는데 왠지 뭔가가 쓰고 싶어서 써보면 다시 읽히는 지점들이 있는 경우. 때로는 영화 자체보다 그 후의 내 해석이 마음에 들어서 영화에 다시 애정을 가지게 된 영화도 있다.

[정확한 사랑의 실험]은 문학평론가가 쓴 영화서사평론집이다. 그가 읽어주는 영화를 보면서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우연히도 신형철 평론가가 다룬 영화들 대부분이 내가 봤거나 보고 싶어했던 작품들이었다. 본 영화에 대한 큰 인상에 있어서는 대체로 느끼는 바가 비슷했다,고 하면 내가 오만한 것이고, 내가 어렴풋이 감지하고 지나쳤던 것이나 아예 놓쳤던 부분까지 훨씬 더 섬세하게 읽어주어 굉장히 재미있게 들었다. 마치 영화를 한 번 더 보는 것 같은 꼼꼼한 해석이 이 책의 제목과도 같았달까.

본 영화지만 작가의 해석과 평가가 너무 후하다는 생각이 드는 작품도 있었는데, 그건 [청포도 사탕]. 이 작품을 읽은 방식이 이 글의 가장 처음에 말한, `꼼꼼하게 다시 읽다보면 점수가 후해지는` 그런 경우에 속하는 게 아닐까 감히 짐작한다. 저마다 자유롭게 영화를 보고 좋아하거나 좋아하지 않을 수 있지만, 작가는 이 영화에 대해 느끼는 부족함과 작위성을 지적하면서도 결과적으로는 좋은 영화.라고 마무리했다. 자세히 알고 보면 사연 없는 사람 없듯이 창작자의 의도에 너무 관심을 가지다보면 그 의도가 좋다는 이유로 만들어진 작품에 대해서도 냉정해지기 힘들어질 수가 있다고 생각한다. 영화감독이든 소설가든 감상하는 이가 그 의도 자체를 굳이 애써서 읽어내려하지 않아도 작품 속에 자연스럽게 녹여야 좋은 작품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는 게 아닐까.

반면 [사랑니]에 대한 감상 역시 신형철 평론가와 나는 다른데, 이 경우는 [청포도 사탕]에 대해 쓴 것과 달리 같은 영화를 서로 다르게 봤다는 사실을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는 평론이었다. 차이는, 누가 봐도 작위적인 설정과 부자연스러운 흐름이 그 의도의 선함으로 인해 사소한 단점으로 평가되는 것인가([청포도 사탕]), 보는 사람에 따라 작위적일 수도 아닐 수도 있지만 그 작위성이 드러나기 전에 감독이 성의있게 그 토대를 쌓아두었는가([사랑니])에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사랑니]는 다시 한 번 보고 싶어졌다.

반면 김기덕 감독의 [뫼비우스]는 신형철 평론가를 통해 본 것으로 충분한 것 같다. 궁금했는데, 알게 된 이상 그 영화를 볼 자신이 없어졌다. 이런 경우는 오히려 영화를 실제로 보지 않고 믿을 수 있는 다른 관객의 시각으로 이야기를 읽는 편이 훨씬 좋다.

다른 사람이 이미 창작하고 공들여 쌓은 서사를 정확하게 읽고 쓰고자 하는 노력과 욕심(원래는 불가능할 것인 뻔한데도)만큼 평론가의 평론을 가치 있게 만드는 덕목은 없는 것 같다. 그의 정확함과 겸손함이 이미 본 영화임에도 다시 읽는 것이 즐겁도록 해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