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지음, 김재혁 옮김 / 이레 / 2004년 11월
절판


서른은 넘지 않았을까? 자신이 아직 살아보지 못했거나 앞으로 다가올 나이를 알아맞힌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p.18-18쪽

그녀는 그녀의 몸 안쪽에 들어앉아 자신의 몸을 몸 자체에, 머리가 내리는 어떤 명령에도 방해받지 않는 그 나름의 조용한 리듬에 내맡긴 채 외부 세계를 잊어버린 듯이 보였다. 바로 이와 같은 외부 세계에 대한 망각이 스타킹을 신을 때의 모든 태도와 몸놀림에도 깃들어 있었다. 하지만 스타킹을 신을 때의 그녀는 굼뜨지 않고 오히려 유려하게 우아하고 고혹적이었다. 그것은 젖가슴과 엉덩이, 다리에 대한 유혹이 아니라 몸의 내면으로 깊이 들어가 바깥세상을 잊어버리라는 요구였다. p.19 -19쪽

그들은 애정이 듬뿍 담긴 걱정스런 말투로 나를 타이를 것 같았다. 그건 꾸짖는 것보다 더 나쁘다. p.21-21쪽

나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하지 않기로 내린 결정을 행동으로 옮긴 경우도 많았고 또 하기로 내린 결정을 행동으로 옮기지 않은 경우도 아주 많았다. '그것'이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그것'이 행동한다. p.23-23쪽

나는 계단에 앉아 기다렸다. 마음이 그렇게 가볍지만은 않았다. 어떤 결정에 대해 약간의 스릴을 느끼면서 동시에 그 결정이 가져올 결과 때문에 불안해하다가 막상 그 결정을 행동으로 옮겼는데 우려했던 결과를 맛보지 않게 된 사람이 느끼는 미미한 안도감이랄까. p. 24-24쪽

왜일까? 왜 예전엔 아름답던 것이 나중에 돌이켜보면, 단지 그것이 추한 진실을 감추고 있었다는 사실 때문에 느닷없이 깨지고 마는 것일까? 상대방이 그동안 내내 애인을 감추고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지는 순간 왜 행복한 결혼 생활의 추억은 망가지고 마는 것일까? 그런 상황 속에서는 행복할 수 없기 때문일까? 하지만 그동안은 행복했는데! 마지막이 고통스러우면 때로는 행복에 대한 기억도 오래가지 못한다. 행복이란 영원히 지속될 수 있을 때에만 진정한 행복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일까? 아니면 고통을 잉태한 것들은 반드시 고통스럽게 끝날 수밖에 없기 때문일까? 의식적인 고통이든, 무의식적인 고통이든간에? 그러면 무엇이 의식적인 고통이고 무엇이 무의식적인 고통인가? p.43-43쪽

고등학교 1학년에서 2학년으로의 진급은 특히 하나의 시기를 칼로 자른 듯한 변화를 몰고 왔다. p.72-72쪽

비행기의 엔진이 고장났다고 해서 그것이 비행의 끝은 아니다. 비행기는 날아가던 돌멩이처럼 하늘에서 떨어지지는 않는다. 계속해서 미끄러지듯이 날아간다. 초대형 다발 여객기는 착륙 시도 시에 산산조각이 날 때까지 반 시간에서 45분 정도까지는 날아간다. 승객들은 아무것도 눈치 채지 못한다. 엔진이 고장난 상태에서의 비행은 엔진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와 별로 다르게 느껴지지 않는다. 오히려 이때의 비행은 조금 더 조용하다. 아주 조금 더 조용하다. 엔진 소리보다 더 시끄러운 것이 몸체와 날개에 와서 부서지는 바람 소리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창문 밖을 내다보면 땅이나 바다가 위협적으로 가까이 와 있다. p.77-77쪽

그건 평소의 그녀 태도가 아니었다. 평소에는 동의나 거부 의사를 아주 분명하게 표현했다. 나는 그녀의 놀란 눈길을 마주하고서 필요하다면 지금까지의 모든 말을 취소하고 자책하며 용서를 빌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러나 곧 그녀를 말과 화해시키려고 시도했다. p.79-79쪽

그 후 나는 그녀를 배반하기 시작했다.
한나와 나 사이의 비밀을 세상에 알렸거나 그녀를 웃음거리로 만들었다는 말은 아니다. 나는 내가 침묵해야 된다고 생각한 것은 어느 것도 입 밖에 내지 않았다. 나는 내가 털어놓았어야 하는 것들도 일체 말하지 않았다. 나는 그녀를 안다고 인정하지 않았다. 나는 부인이 배반의 보이지 않는 한 변형임을 알고 있었다. 외부에서 보면 부인을 하는 건지, 비밀을 지키고 있는 건지, 심사숙고하는 건지, 난처함과 불쾌함을 피하려는 건지 구별할 수가 없다. 그러나 자신의 의중을 드러내지 않는 본인은 잘 알고 있다. p.82-82쪽

그녀는 기차가 계속해서 앞으로 달리면 뒤쪽에 처지는 도시처럼 뒤에 남았다. 그 도시는 그대로 있다. 우리의 등 뒤 어디엔가. 우리는 기차를 타고 가서 그 도시를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p.94-94쪽

그 책에서 한나는 실명으로 거론되지 않았으며 그 밖의 다른 어떤 형태로도 알아보거나 확인할 수 없었다. 가끔 나는 젊고 아름답고 자신에게 주어진 과업을 달성함에 있어서 무자비한 성실성을 보인 것으로 묘사된 한 여자 감시원이 그녀일지 모른다고 생각했지만 확신할 수는 없었다. p. 128-128쪽

회피하고 방어하고, 숨기고, 위장하고 또 남에게 상처를 주는 행동의 근거가 되는 수치심에 대해서는 나 스스로도 잘 알고 있었다. p. 142-142쪽

그녀는 계산하지도 않았으며 전략을 쓰지도 않았다. 그녀는 해명에 대한 재판부의 요구를 받아들였으며, 단지 그 밖의 정체가 더 노출되는 것을 원치 않았을 뿐이다. 그녀는 자신의 이익을 좇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진실과 자신의 정의를 위하여 싸운 것이다. 자신을 늘 약간은 위장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에, 그녀는 완전히 솔직해질 수 없었다. 그리고 완전히 자신을 드러내 보일 수 없었기 때문에, 그것은 안타까운 진실이요 안타까운 정의가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그녀의 것이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한 싸움이 그녀의 싸움이었다. p. 143-144-143-144쪽

얼핏 보면 그것은 어린아이가 쓴 글씨라고 생각할 수도 있었다. 그런데 어린아이의 글씨체에서 서툴고 어색하게 보이는 부분이 여기서는 듬뿍 힘이 들어가 있었다. 선들을 모아 글자를 만들고, 글자들을 모아 낱말을 만들기 위해 한나가 극복해야 했을 어려움이 눈에 들어왔다. 어린아이의 손은 이리저리 마구 헤매기 때문에 글씨가 나아가는 길의 안쪽에다 손을 붙잡아두어야 한다. 반면 한나의 손은 그 어디로도 가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가도록 몰아대야 했다. 글자들을 형성하고 있는 선들은 획을 올려 그을 때나, 내려 그을 때나, 곡선을 그리거나 고리 모양을 그리고 전에나 모두 그때마다 늘 새로 시작되었다. 그리고 각각의 글자는 새로이 창출해냈다고 할 정도로 그 기울기나 경사의 방향이 새로웠으며 높이와 너비가 잘못된 경우가 많았다. p. 199-199쪽

"나는 그 누구도 나를 이해하지 못하고, 그 누구도 내가 누구인지 그리고 그 무엇이 나로 하여금 이런저런 일을 하게 만들었는지 알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았어. 그리고 넌 알 거야. 너를 이해하지 못하면, 그 누구도 너한테 해명을 요구할 수 없다는 사실을 말야. 그렇기 때문에 법정 역시 나한테 해명을 요구할 수 없었어. 하지만 죽은 사람들은 내게 그것을 요구할 수 있어. 그들은 나를 이해하거든.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법정에 있을 수는 없었지. 하지만 그들이 그곳에 있었다면, 그들은 나를 특히 잘 이해했을 거야. 이곳 교도소에서 그들은 나하고 자주 같이 있었어. 그들은 내가 원하든 원치 않든 매일 밤 나를 찾아왔어. 재판을 받기 전에는 나는 그들이 나한테 오려고 하면 쫓아버릴 수 있었어." p. 210-210쪽

내가 한 행동과 하지 않은 행동 그리고 그녀가 내게 한 행동-그것은 이제는 바로 나의 인생이 되었다. p. 231-23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