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없는 사람
커트 보니것 지음, 김한영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8월
장바구니담기


유머는 두려움에 대한 생리적 반응이다. 프로이트는 유머가 사람이 좌절했을 때 생겨나는 몇 가지 반응 중 하나라고 말한 바 있다. p.13 -13쪽

내가 보기에 진화는 엉터리다. 인간은 정말로 한심한 실패작이다. 우리는 은하계 전체에서 유일하게 생명이 살 수 있는 이 친절한 행성을 교통수단이라는 야단법석으로 한 세기 만에 완전에 망가뜨렸다. 정부는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했지만 마약은 석유 다음이다. 석유란 얼마나 파괴적인가! 당신의 차에 기름을 조금만 넣으면 시속 백 마일로 달리면서 이웃집 개를 깔아뭉갠 다음, 대기권을 찢어발길 수 있다. p.19 -19쪽

일전에 공항에 갔더니 공항 검색 요원들이 요즘 일반적인 관행이라며 신발을 벗기더군요. 신발을 벗어 검색대에 올려놓는 순간 정말 터무니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떤 남자가 운동화를 이용해 비행기를 폭파하려 했다는 이유로 내 신발을 벗겨 엑스레이 기계로 촬영을 하다니요....... (누군가 폭발하는 바지를 발명한다면 정말 큰일 아닙니까?) p.107-107쪽

인간으로 태어난 것을 제외하고 우리가 저지르고 있는 가장 큰 실수는 시간이라는 것과 관련이 있다. 우리는 시계와 달력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시간을 소시지처럼 일정하게 자른 다음, 마치 그것들이 우리의 소유물이고 언제까지나 변하지 않을 것처럼 하나하나에 이름을 붙인다. 그러나 실제로 시간은 수은 덩어리처럼 잘게 부서지거나 순식간에 증발하는 경향이 있다. p.117
-117쪽

"지구로서는 우리를 제거하는 편이 나을 걸세. 우린 정말로 무서운 동물이거든" p.119-119쪽

유머는 인생이 얼마나 끔찍한지를 한 발 물러서서 안전하게 바라보는 방법이다. p.126-12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