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밤의 거짓말
제수알도 부팔리노 지음, 이승수 옮김 / 이레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한동안 책을 많이 보지 못했다. 뭔가를 해야 한다는 부담이 지나치면, 해야 하는 것도, 할 수 있는 것도, 심지어는 하고 싶은 것도 잘 못 한다. 내게 요 몇 달은 그런 시간이었다. 그래서 나는 바쁠수록 책을 많이 읽게 된다. 

그러던 중에 알라딘으로부터 배송 예정 문자를 받았다. 예전에 산 책 중에, 무슨 이벤트에 당첨됐을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나는 어떤 이벤트에도 당첨되지 않았다. 몇 시간 후 알라딘에서 배송된 물건의 정체를 알게 됐다. 짧지만 깊숙한 메모와 함께 응가가 보내준 책과 CD. 

정말 오랜만에, 단숨에 책을 읽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이 책을 단숨에 읽은 이유가 정확히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책이 정말 그렇게 재미있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어떤 마음으로 내게 책을 보냈을지 너무 잘 느끼고 있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깃발은 서사적인 기억을 담고 있었지만, 깃대를 휴식용 발판으로 선택한 참새들에겐 그런 기억 따윈 별로 중요하지 않았다. (p.12)  
   
 
   
  그러다가 구름은 뜀박질하던 여자 아이의 머리 리본이 풀리듯 갑자기 흩어져 버렸다. (p.16)  
   
 

 

 

 

난 책 읽을 때 줄을 많이 긋는 편이다. 연필이건, 볼펜이건, 흔들리는 버스에서건 꼭 다시 읽어보고 싶은 부분은 꼭 줄을 그어둔다. 그런데 <그날 밤의 거짓말>에서는 줄을 그어둔 부분이 많지 않았다. 그만큼 문장 하나하나가 빛나는 소설은 아니었다. 이야기의 구성과 추리소설처럼 반전을 위해 숨겨둔 치밀한 계산들이 이 소설을 빛나게 한다. 

<그날 밤의 거짓말>은 역적으로 몰려 사형선도를 받은 4명의 사형집행 전날밤부터 동이 트기까지가 배경이다. 사형집행 전날, 감옥의 사령관이 한 가지를 제안한다. 네 명 중 한 명이라도 그들의 우두머리인 '불멸의 신'의 이름을 대면 네 사람을 모두 사면해주겠다고 제안한 것이다. 대신, 누가 배신을 했는지는 절대 비밀로 지켜주겠다고도 한다. 사령관은 이 제안 자체가 이미 자신의 승리라고 믿는다. 네 사람이 인간인 이상, 배신을 하고 목숨을 부지할 것인지를 한 순간이라도 고민하게 될 것이고, 그렇다면 결국 아무도 배신을 하지 않고 죽더라도 이미 마음 속에서는 배신을 한 것이기 때문에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명예롭지 않게 되는 셈이라는 '셈'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 지점이 이 소설 전체를 지배하는 핵심이다. 이를 통해 이야기 속에 숨어 있는 두 번의 반전이 더 빛난다. 

 

 

남작 가문 출신인 '콜라도 인가푸', 자칭 시인인 '살림베니', 군인인 '아제실라오', 학생인 '나르시스'는 사형집행 전의 시간을 각자의 인생을 돌아보는 이야기로 보내기로 한다. <그날 밤의 거짓말>이라는 제목을 인지하고 소설을 읽는다면, 과연 누가 어떤 거짓말을 하는 것인지에 대해 가끔 떠올리게 되긴 하지만, 대부분은 누군가가 거짓말을 하고 있을 거라는 의심조차 않고 한 사람, 한 사람의 이야기에 몰입하게 된다. 그러다 보면, 누군가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교묘하게 거짓말을 했고, 진실이 드러나는 순간, 속였다고 생각했던 사람과 정말로 속인 사람이 뒤바뀌면서 이 소설의 진가가 발휘된다. 그래서 <그날 밤의 거짓말>은 다시 읽어보면, 많은 단서를 숨겨놓거나 디테일이 훌륭한 영화를 다시 보는 기분이 들 것 같다. 

 

 

다만, 중간중간 집중력을 흐트러지게 하는 부분이 있었다. 물론, 전적으로 내 무지의 탓이긴 하지만. 이야기가 1850년대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유럽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그 시대상황이 어지럽게 뒤섞여 있기도 하다는 점 때문에 수시로 등장하는 각주가 종종 방해가 되었다. 당시 유럽역사에 밝다면 책을 더욱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제수알도 부팔리노의 <그날 밤의 거짓말>이 이탈리아 스트레가 상 후보에 올랐을 때, 함께 후보에 오른 모든 후보자는 "이렇게 훌륭한 작품과 경쟁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라며 전원 자진사퇴를 했다고 한다. 이 말이 사실이라면, 번역, 혹은 나의 모자란 읽기가 좀 아쉽긴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