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원에 가기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베스트셀러와 베스트셀링 작가에 대한 타고난 거부감으로 알랭 드 보통 책을 한 권도 읽어보지 않은 상태에서 이 책을 샀다. 신문을 보다가 한 기자가 인용해놓은 글이 알랭 드 보통의 책의 한 구절이었고 인상적이어서 이 책을 사보게 됐고, 후에는 친구가 알랭 드 보통의 책을 선물해줬다. 알고 보니 '동물원에 가기'는 알랭 드 보통이 지금까지 쓴 수많은 책들 가운데 일부를 모아놓은 것이었다.

읽으면서 참 많은 생각을 했다. 그 당시는 참 마음이 복잡했던지, 포스트잍까지 붙여가며 많은 생각들을 잡아놓으려고 시도했었던 모양이다. 그 때 글로 옮겨진 생각들은, 지금에 와선 딱히 와닿지 않는 것도 많다. 내 감정의 부피는 작고, 질량은 적고, 질감도 나쁜 것들이었다, 언제나. 나는 다른 누군가에게 마음을 열기 전에 우선 내 감정에 먼저 마음을 여는 일이 필요하다.

보통이 호퍼의 그림을 얘기하는 대목에선, 내가 잠시 지나왔던 수많은 기차역이나 터미널, 공항 같은 장소들이 떠올랐다. 회사나 학교 안이었다면 혼자서 밥을 먹느니 차라리 굶는 쪽을 택할 내가 기차역이나 터미널, 공항 같은 곳에서는 혼자서도 밥을 잘 먹을 수 있었다는 점도 생각해냈다.

원래 사람이 적은 장소나, 원래 사람이 적은 시간, 그리고 차라리 모든 각자가 다 남인 장소에서는 실제로 고립되어 있더라도 고립이 느낌이 오히려 희석된다. 군중 속의 고독이 더 고독의 본질에 가까운 것도 그 이유겠지.

하지만 이 책에서 배운 가장 중요한 한 가지는 오롯하게 한 사람을 사랑하기 위해서는 나 자신의 가치에 대한 믿음에 대한 집착부터 버려야 한다는 것이었다. 정말 웃긴 건, 나는 스스로의 가치가 뭔지도 확실하게 모르고 그 믿음도 뿌리가 깊지 않다는 것이다. 그런데 겨우 그런 알량한 믿음 때문에, 거 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