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애중독
야마모토 후미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창해 / 2002년 5월
평점 :
절판
주말에 해치워야 할 급한 일이 있음에도 이 책 <연애중독>을 계속 읽고 싶어 조바심이 날 정도였다. 서둘러 일을 끝내고 홀가분하게 책을 마저 읽게 되었을 때는 신이 날 지경이었다. 마침내 책을 다 읽고 나자 지끈지끈 머리가 아프고 등골이 서늘해진다. 혹시 나도 미나즈키처럼 누군가를 옭아매고 있는 게 아닐까. 미나즈키처럼 내 주변이 발아하기에 제격으로 들어맞는 순간 방아쇠가 당겨질 수 있는 성향을 가진 게 아닐까. 두려웠다. 스산한 11월의 오후, 바람소리가 심상치 않게 느껴진다. 야마모토 후미오의 소설 <연애중독>은 이전에 읽었던 <플라나리아>보다 중독성이 강했다.
남편과 이혼한 후 도시락집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던 미나즈키 앞에 어느날 예전부터 동경하던 작가 이츠지 고지로가 나타나 다정한 손을 내민다. 세상에 대해 인생에 대해 정답이라도 알고 있는 듯 항상 거침없는 이츠지 고지로에게 미나즈키는 구원의 희망을 건다. 마치 뱁새의 알을 밀어내는 뻐꾸기 새끼 같다. 자신과 같은 처지로 이츠지 고지로의 '보살핌'을 받는 '어린 새끼양'들을 차례차례 둥지에서 밀어 떨어뜨리는 미나즈키의 단호하고 치밀한 행동은 부화한 지 나흘 만에 눈도 안 뜬 안쓰런 모습으로 태연히 다른 생명을 죽이는 뻐꾸기 새끼 같다. 그러나 뻐꾸기 새끼에게도 항변할 말은 있다. 왜 나를 남의 둥지에 버려두고 품어주지 않나요.
그렇다. 나는 부모에게서도 타인에게서도 지독한 취급을 당해왔다고 생각해왔다. 친하다고 생각했던 사람에게도, 그렇지 않은 수많은 타인에게도 막연한 적의 같은 것을 느끼고 있었다. 그래서 더더욱 자기방어를 단단히 하며 살아가기로 마음먹었다.
미나즈키의 이런 원망에 이츠지 고지로는 괜한 원망이고 배은망덕이라고 일축한다.
과거에 '만약'이라는 말을 끼워 넣지 마.
항변의 말도 먹히지 않은 미나즈키는 저혼자 살아남아야 한다. 새끼 뻐꾸기가 붉디붉은 입을 가장 크게 벌려 어미가 물어온 먹이를 독차지하듯이. 모르는 사이 눈썹 사이에 한 자리를 차지한 여덟팔자를 그리고 있는 주름처럼 미나즈키는 어느새 연애라는 진한 독에 중독되었다. 남편에게도 연인에게도 최선을 다했으니 잘못한 게 없다고 믿는 그녀는 그들이 그녀에게서 등을 돌렸을 때 그들이 한 행동을 이해할 수 없어 '내가 어떻게 해주길 바라는 거야?'라고 되묻는다. 안 되는 줄 알면서도 붙잡고 있는 건 괴로운 일이야. 이츠지 고지로는 말한다. 안되는 줄 알면서도 미나즈키는 남편을, 이츠지 고지로를 붙잡고 괴로워한다. '그 미련 때문에 언젠가 자신이 죽게 될 거라는' 걸 알면서도 놓지 않는다.
부모는 그저 부모일 뿐이고 친구는 그저 친구일 뿐이었다. 그렇다고 스스로도 나 자신을 좋아하지 못했던 내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사랑한 타인이 그였다. 내게도 타인을 사랑하는 능력이 있구나, 나는 나란히 깔아놓은 이불 이편에서 눈물을 글썽였다. ... 내심 잘못이라는 생각이 들어도 그냥 남편이 옳은 것으로 쳐주었다. 검은 것을 희다고 해도 한편이 되어 주는 게 내 의무라고 생각했고, 지금도 그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상대의 어리광을 받아주는 게 사랑이라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서는 어떻게 타인과 구별할 수 있단 말인가. 나에게 후지타니는 단 한 사람, 타인이 아닌 인간이었다.
이토록 사랑했던 남편인데 미나즈키는 남편의 둥지에서 다른 뻐꾸기 새끼에게 떠밀려 떨어진 것이다. 누가 미나즈키에게 단죄의 돌을 던질 수 있을까, 파렴치하다고 비난할 수 있을까. 뻐꾸기 새끼는 살기 위해 다른 새끼를 내던졌고, 살기 위해 붉은 입을 더 크게 벌렸을 뿐이다. 미나즈키는 그저 숨을 쉬며 살기 위해 연애의 대상을 찾았을 뿐이다. 타인이 아니라고 믿을 수 있는 인간을 찾았을 뿐이다.
나 자신에 대해 얘기하는 게 서툰 나는 크게 당황했다. 자라온 과정이나 장래 희망 같은 것을 누구에게 자세하게 밝혀본 적이 한번도 없었던 것이다. 거의 제대로 대답하지 못하는 내게 그는 답답하다는 표정으로 '아직도 마음을 터놓지 못하는구나'라고 중얼거렸다.
하지만 마음을 터놓는다고 해서 달라질 건 없다.
마음을 터놓았다는 착각으로 스스로를 위로할 뿐이다. 타인은 여전히 타인이다. 뒤늦게라도 미나즈키는 깨달았을까. 타인이 아닌 자신을 사랑하게 되었을까. 나이를 먹어 강해졌을까. 알 수 없는 일이다. 여전히 상대의 손을 꽉 부여잡고 아파하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