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제 도서관북페스티벌도 대한민국평생학습박람회도 끝이 났다. 그럼 난 12월까지 결재 사인만 하면 되는건가?
좋다! 너어무 좋다. (일복 많은 사람이니 살짝 불안하기는 하다)
어제 우리도서관과 청주여자교도소간 독서교육프로그램 지원, 자료 지원등의 업무 협약을 맺으러 다녀왔다. 직원이 '교도소에 들어올 수 있는 사람은 죄를 짓거나 관계자이거나 둘 중 하나인데 여러분은 운이 좋으십니다' 한다. 영화 '하모니'의 배경이 되기도한 교도소는 생각보다 쾌적하다. 운동장 담벼락에는 따뜻한 느낌의 벽화가 그려져있고, 올망졸망한 화분들이 나란히 서 있다. 5명씩 생활하는 방은 규모는 작지만 화장실도 분리되어 있고, 개인 사물함도 있어 불편함이 없어 보인다. 노숙자들 추위에 떨지 말고 감옥에서 생활(?)하는것도 좋을듯.
수감자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바리스타, 화훼, 요리, 미용등 다양한 자격증 과정이 있고, 모든 수감자들은 오전 8시30분부터 오후 5시30분까지 리폼, 양복 재단, 한지공예상자 만들기등의 작업을 의무적으로 하며 수익금은 통장으로 입금이 된다니 직업학교의 느낌도 난다. 막연하게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참 알차게 운영하고 있다.
도서관에서 나왔다는 말에 반갑게 웃어주는 수감자들의 해맑은 표정을 보며 잠시 숙연해지기도......
이렇게 순박해보이는 그들 다수는 살인, 사기죄로 들어왔고 살인이 40%나 된다고 하니 순간 오싹해졌다!
평생 감옥에 가지 않는 것도 감사할 일이라는걸 새삼 느꼈다.
2.
도교육청에 함께 근무했던 지인이 시조집을 냈다. 딱딱한 시조의 형식을 깬 언뜻 시 같기도 하면서 절제미가 흐른다.
자연 풍경, 아이들, 교사생활, 유년시절, 고전 해석등 자신의 경험담을 바탕으로 다양한 주제를 넘나든다. '드넓은 시간과 공간에 펼친 관찰력과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한 이승하 교수의 평이 와 닿는다.
눈부신 가을날, 은행나무길 벤치에 앉아 낭송하면 좋을 책.
동백꽃
겨우내 물질하던 어린 누이 손등이랄까?
얼음 박혀 터진 틈새 내비치는 붉은 속살
못본 척, 눈가 훔칠 때
뜨건 눈물이
후
두
둑
가을 속내
무른 속내 비칠까
기척도 없더니만
뽀얀 솜털 자위 뜨고
뚝, 떨군 덕석밤
명치끝
치받던 그리움
그렇게 아람 번다.
교무수첩1
- 스승의 날
밟혀 줄 그림자조차
찢겨긴 지 이미 오래
주홍글씨처럼 카네이션
매달려 있던 하루
아홉 시
저녁 뉴스엔 또
어떤 죄목으로 단죄될까